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5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차별경험 간의 종단적 관계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s Perceived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18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차별경험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차별경험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5)이 수집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 PSED)자료 가운데 장애인 5,0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7차년도(2011-2014) 종단자료를 SPSS 18.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으로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높아지며, 차별경험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형변화 모형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 초기값은 자아존중감과 차별경험 초기값 및 변화값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사회경제지위 변화값은 차별경험 변화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차별경험 초기값에는 부분 매개하며, 차별경험 변화값에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들이 우리사회에서 받는 차별경험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높은 자아존중감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건강한 자아형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 patterns of the disabled’s perceived social and economic status(SE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conduct longitudinal analysi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SE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fourth, fifth, sixth and seventh wave Panel Survey(2011-2014)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including 5,092 respondents’ data collected by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2.0 applying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S increased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decreased over time and these facts mean that SE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have linear change models. Second, the initial value of SES influenced on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rate of change of SES did not influence on discrimination experience. That is, self-estee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nitial valu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ate of chang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abled’s self-esteem could offset the effects of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developments of various program and infrastructure for building healthy self-esteem are requir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