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5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변지구 지명 문화 연구

Study on the Culture of Geographical Names in Yanbian

  • 10

이 논문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지명에 나타난 언어 현상을 분석하고 연변지명을 표식부와 종별부 즉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문헌학적 고찰방법과 현지 조사를 결부하여 지명이 보여주는 문화를 고찰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현재 한국에서는 지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데 반해 중국 연변지구의 지명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의 여건으로 말미암아 연변지구의 전체적인 지명 조사와 분석은 어려운 실정이어서 그 연구 범위를 축소하여 연변조선족자치주 지명지(地名志)에 실린 3939개의 지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각 현, 시의 지명지(地名志)와 문헌 자료 또한 보조적인 자료로 참고하였으며 일부는 현지답사를 통해 보완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지명의 종별부는 지리 문화, 역사 문화, 경제 문화, 종교 문화, 방언 문화 등을 나타냈고 지명의 표식부는 물질문화, 정치문화, 정신문화 등을 나타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phenomenon of the place names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and to observe and to study the culture of the place names which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signs and the classification, with the methods of analyzing and investigating on the spot and litetatures.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the place name in Korean at present, but the study on that of Yanbian district, unlike in Korean, is relatively rare. Because of the conditions and the limit, it is difficult to make a complete diagnosis of the place name in all prefecture. The objects of the study in this essay are 3939 place names in the place name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pubulished in 1980. We also take the documentations in every city and county for the reference, combining with the field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results reflected that the types of the place names showed the geographical culture, historical culture, eonomical culture, religious culture, dialectical culture, etc. and the markings of the place names showed material culture, political culture, spiritual clutur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종별부를 통한 지명문화

Ⅲ. 표식부를 통한 지명문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