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5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퍼비전에서 상담사의 비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ounselor s Nondisclosure in Supervision

  • 327

본 연구는 상담사가 수퍼비전에서 비개방을 하게 되는 심리적 경험을 탐색한 질적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ake(1995)가 제안한 사례연구 분석유형을 참고하여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사 5명을 심층면접함으로써 그들이 수퍼비전에서 비개방하게 되는 요인을 탐색해보려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우선, 상담사들은 수퍼바이저에게 자신이 부정적으로 보여질 수 있음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거나 인정욕구를 가질 때 비개방을 결정하고 있었다. 또 상담사가 수퍼바이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될 경우에 비개방이 일어났고, 수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신뢰롭고 친밀하지 못하다고 여겨질 때도 발생했다. 아울러 상담사가 수퍼비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경우에도 비개방이 일어났다. 상담사들은 주로 비개방을 통해 수퍼바이저와 심리적 거리를 두는 것을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상담사의 비개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부정적 인식에 대한 두려움, 수퍼바이저의 역량과 태도에 대한 의구심,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낮은 신뢰, 그리고 개방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상담사의 수퍼비전 비개방에는 상담사의 수퍼바이저와 수퍼비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수퍼바이저의 전문적인 역량과 함께 인격적인 성숙과 신뢰, 친밀감에 의한 수퍼비전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와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o make the counselor become nondisclosure in super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causing ineffective supervis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supervision, applying the case study analysis proposed by Stake(199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initially that the counselors came to be nondisclosure to the supervisor when they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y could be negatively viewed or when they desperately desired for recognition. They also become nondisclosure, when the counselor ha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supervisor and whe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was perceived unreliable and unfriendly. In addition, when the counselor was not aware of the supervision, they became nondisclosure. Mostly, counselors protect themselves by keeping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supervisor, thereby becoming nondisclosure unconsciously. Factors affecting the nondisclosure of the counsel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fear of negative perception, doubts about the competence and attitude of the supervisor, low confidence in supervision relationships and lack of awareness of the need for opening. The counselor s awareness of supervisor and supervis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ounselor s nondisclosure in the supervision and the supervisor s professional competence as well as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ased on personality maturity, trust, and intimacy had big influenc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discussion and subsequent researches.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연구의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