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구자가 미술치료사로서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세계에 반영된 어린 시절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외상 경험에 주목하여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작가 르네 마그리트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생애 주기별 미술 표현의 특징과 내용의 상징적인 의미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어린 시절 외상 경험이 있었던 한 예술가가 작업을 통해서 어떻게 내면을 탐색하고 표현하며 삶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과정을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개개인이 지닌 주관적 의미체계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생애사 연구방법과 Suzie Gablik(1970)의 전기에서 의미 있고 핵심적인 내용 및 그 시기에 작품에 표현된 내용을 작가의 특징적 작품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 그리트는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외상경험에 대해 미술작품으로 형상화 하는 과정을 통해 우울한 정서를 해소한 것으로 보이며 어린 시절 외상의 기억을 창조적으로 구성하면서 자기를 수용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승화의 경험을 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마그리트의 작품을 생애사 연구에 근거를 둔 전기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그를 이해하는 과정은 미술치료에서 외상환자들이 미술작업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재구성하고 자기를 탐색하고 표현하면서 자아의 힘을 기르는 과정에서 고통을 극복하고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태도를 갖는 변화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as art therapist, to understand René Magritte s works and life, paying attention to the traumatic experience of the artist, witnessing his mother s suicide in childhood. Based on the life history of Rene Magritte, as an artist and writer, the study explored features of artistic expression and symbolic meanings to show how an artist, suffering from traumatic experiences in the childhood, looked deep into his inner self, expressed it artistically and transformed in art. To this end, the method of life history research was adopted with focus o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subjective system of meaning of the artist. Biography of Suzie Gablik(1970) was also reviewed to look into meaningful key contents and artistic features of the time, together with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rtist.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Magritte was able to overcome depression derived from the traumatic experience of witnessing his mother’s death, while transforming it in arts and was able to accept himself and create something new out of the traumatic memory. The researcher analyzed Magritte works of art in perspectives of an art therapist and it is meaningful to find that the process runs similarity with the process of trauma patients reorganizing memory,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while working on creative art work and growing positive power to overcome painful memory and develop positive and creative attitudes.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