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리A지구 보고 내용과 달리 오산리A지구 층서에 문제가 있음이 제기되면서부터 오산리식 토기의 시간성과 정체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본고에서는 오산리A지구 층서를 검토하고 오산리식토기 문양의 형식학적 변화가 층서와 일치하는가에 목적을 두었다. 오산리A지구에서 오산리식토기 문양의 시문방법과 시문구형태를 구분하여 문양소, 단위문양, 단일문양, 복합문양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하층에서 상층의 문양변화는 날인·압날기법 위주이며 시무구 2∼3개 이상을 이용한 복합문양으로 시문범위가 넓은 것에서 점차 다치구를 이용한 간략·축소된 복합문양과 단일문양 위주 문양으로 시문범위가 좁아지는 방향성을 가진다. 일부 시문구의 형태는 역U자에서 U자, C자 형태의 변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오산리C지구와 문암리에도 적용한 결과 이러한 문양 변천이 오산리식토기 전체에서도 유효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산리A지구 층서를 기준으로 오산리식토기 1∼5기로 편년하였다. 오산리식토기 1∼3기는 옹·발 기종을 중심으로 다양한 날인·압인기법의 복합문양이 시문되고, 오산리식토기와 주체가 다른 토기영향의 일부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오산리식토기 4∼5기는 옹 수량이 감소하며 발·호를 중심으로 간략화 된 복합문양과 단일문양, 다치구 사용이 증가한다. 탄소14연대를 이용한 각기의 시간은, 1기가 5400∼5100, 2기 5100∼4800, 3기는 4800∼4500, 4기는 4500∼4000, 5기는 4000∼3500 (CalBC)으로 추정하였다.
Despite the fact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with layer excavation, the controversy over the temporality of the Osanri-type earthenware continued because of the distrust of the stratum of Osanri A district with the sand dune topography. Some studies have accepted the results of excavations at the stratum, bu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Osanri-type earthenware culture itself has caused controversy over the temporality and identity of Osanri-type earthenware. In this research, we review the layers of the remains of Osanri and Munam and classify all the patterns found in Osanri-type earthenw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stratum and the typological direction of Osanri-type earthenware patterns match which are simple and simplified. So this study 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stratum of Osanri A district. Based on the stratum of Osanri A district, the change of Osanri-type earthenware patterns was systematically set and 1st to 5th period of Osanri-type earthenware was divided. Then I used C-14 age dating method to determine the time range of Osanri-type earthenware. The 1st part of the early period Osanri-type earthenware is 5400 to 5100 CalBC and the 2nd one is 5100 to 4800 CalBC. The 3rd set of the former period Osanri-type earthenware would be 4800 to 4500 CalBC, and the 4th set is 4500 to 4000 CalBC and the 5th set is 4000 to 3500 CalBC.
요약
Ⅰ. 머리말
Ⅱ. 오산리A지구 층위검토
Ⅲ. 오산리식토기의 문양
Ⅳ. 오산리식토기 문양과 층서관계
Ⅵ. 오산리식토기의 편년
Ⅷ.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