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여성NGO의 역할과 조직의 자율성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s of Women NGOs and Organizational Autonomy

  • 225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 자료를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NGO 조직의 주요 활동목적들이 인적, 재정적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적 자율성의 경우, 취약계층 여성의 복지증진과 인권증진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와 상근 활동가의근속연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은 월평균 회원 수, 공동체 풀뿌리여성운동은 비상근 활동가의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재정적자율성의 경우,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들은 조직이외부의 간섭이나 의존 없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자율적 예산규모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자율적 예산규모중에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경제역량 강화, 여성의 건강권 확립을 위한활동들은 후원금 비중, 공동체 풀뿌리 여성운동은 회비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NGO 조직의활동들이 활동기반이 되는 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확장되거나 제약받을 수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fundamental role and aut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omen NGOs pursue the publicness role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ncourage the volunteerism of wome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However, lack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re challenges to the women NGO’s fundament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women NGO’s autonomy influence on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I.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