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의문의 디자인’이 갖는 사회적 의미
The meaning of interrogative design from Krzysztof Wodiczko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조형디자인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4권
-
2017.121 - 14 (14 pages)
- 450

크지슈토프 보디츠코(Krzysztof Wodiczko)는 디자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반면에, 예술 분야에서는 보디츠코의 작품을 다룬 논문이 몇 편 발표되었고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회고전을 가질 만큼 영향력이 적지 않다. 보디츠 코가 전방위적인 예술 활동을 하는 작가이면서 디자인 전공자로서 디자인 개념을 활용한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 연구의 대상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특히, 디자인의 사회적 의미가 커지고 있는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보디츠코가 제시한 ‘의문의 디자인(interrogative design)’ 개념은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살펴보면서 그 예들을 통해 의문의 디자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오늘날 디자인 활동 및연구에 시사하는 점들을 도출하였다. 노숙자 수레, 외벽 프로젝션, 참전 군인을 위한 헬멧, 외국인 지팡이 등 주요 작업들은 의문의 디자인을 비평적 도전, 파르헤지아(parrhesia), 아웃사이더라는 키워드로 개념화할 수 있다. 결과적 으로 보디츠코가 제시한 의문의 개념은 디자인의 사회적 의미를 윤리적 차원에서 나아가 정치적 차원까지 확장시켰다. 이것은 디자인을 즉각적인 문제 해결에서 더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Krzysztof Wodiczko, an artist and designer, is a remarkable person for the design research. However, he is not known in the society of design in Korea. In case of arts in Korea, there are several academic papers on Wodiczko’s works and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was held at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in Seoul. In fact, Wodiczko has been introduced as multidisciplinary artist. That is the reason why he is not well known in design discipline but known in arts. He has design background definitely in design major and practice, so it is worthy to research on his works as design. Especially, the concept of interrogative design is remarkable in consideration of current social interesting in design community. Thus, this study explores insights for the design activities and research from Wodiczko’s works under the concept of interrogative design. Wodiczko’s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Homeless vehicle, The Veterans Helmet and Alien Staff are categorized by keywords such as Critical challenging, Parrhesia, and Outsider. As a result, the concept of interrogative design supposed by Wodiczko has contributed to expanding social meaning of design from the ethical aspect to the political level. This is full of suggestions that design might be reached to the fundamental issues over the immediate problem-solving.
Ⅰ. 서 론
Ⅱ. 보디츠코의 작업 연구
1. 디자인 배경 및 활동
2. 사례 연구
Ⅲ. ‘의문의 디자인’과 동시대 디자인
1. ‘의문의 디자인’의 개념
2. ‘의문의 디자인’의 사회적 의미
Ⅳ.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