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735.jpg
KCI등재 학술저널

11~16세기 도기가마의 변화과정과 의미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DOI : 10.18040/sgs.2017.98.127
  • 1,539

본 글은 11~16세기에 운영되었던 도기가마를 대상으로 도기가마의 운영시기와 가마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글에서는 도기가마를 가마규모, 축조방식, 평면형태 등으로 나누어 도기가마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도기가마는 가마의 내부, 폐기장, 공방지 등에서 출토된 자기와 고고학적 조사과정에서 실시한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유형별 운영시기를 추정하였다. 이후 시기에 따라 도기가마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도기가마가 변화하게 된 원인과 계통은 무엇인지를 찾아보기 위해 도기가마의 생산체제 변화와 동시기에 운영된 자기 가마구조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지하식 도기가마는 11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꾸준히 나타나는 반면에 12세기 이후에 강진을 중심으로 등장한 지상식 도기가마는 서서히 증가하여 15세기에 이르러 지하식 도기가마를 누르고 새로운 도기가마의 중심에 섰다. 이후 지상식 도기가마는 15세기를 지나면서 번조실의 너비가 동일한 세장방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도기가마의 변화는 가마의 생산체제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의 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와 자기의 복합 생산체제 안에 포함되어 청자가마의 기술적 영향을 받았으나, 15세기 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가마와 자기가마가 별도로 존재하여 자기가마의 제작공정을 벗어나 단독 생산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생산체제의 변화는 도기가마가 분청사기나 백자가마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 In the research, pottery kil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its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hape. Then, the period of use for each classified kilns were estim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inside the kiln, waste disposal site and craft workshop discovered during the archaeological research. Moreover, change in the production system of kilns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porcelain kilns system that were u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trace how the pottery kilns changed over time and their reason and genealogy. As result, while the underground type pottery kilns consistently showed up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appeared first during the 12th century around Gangjin area and increased steadily, eventually becoming the dominant form of pottery kilns by the 15 century. Then, Since then,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changed to thin and long rectangular shape where the width of the chamber is fixed. The change in pottery kiln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kiln production system. While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during the 12th century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production system of porcelain and pottery and affected by the blue porcelain kiln technolog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divided into pottery and porcelain production system, with independent system for pottery kiln production system. As result, it was less affected by the buncheong porcelain or baekja porcelain kiln production technology.

Ⅰ. 머리말

Ⅱ. 도기가마의 유형과 운영시기

Ⅲ. 도기가마의 변화요인과 생산체제와의 관계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