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822.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도권 연담도시 간 인구이동과 주택시장의 변동성 분석

Analyzing Population Migration and Housing Market Volatility in Metropolitan Conurbation

  • 171

본 연구는 주택가격에 중점을 두고 주택시장과 인구이동의 관련성과 영향을 확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수도권 내 인접한 연담도시의 주택가격 변동은 인구이동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지, 주택가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는 유사규모의 연담도시 간에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는지를 그랜저인과분석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주택가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련성 및 영향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해당지역의 가격변동 뿐만 아니라 인접한 연담도시와의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세가격 변동에 의한 주변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임차가구의 이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는 인구이동 과정에서 임차가구의 비자발적 이동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이동에 따른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주택정책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해당지역 뿐만 아니라 인접한 연담도시의 주택시장 모니터링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께 확인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market volatility and population migr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housing price fluctuations in metropolitan conurbation cities cause population migration, and whether housing market volatility and population migration have different features between the conurb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purpose using the granger casuality analysis and VAR(Vector Auto Regressive) analysi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adjacent conurbation c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3) RESEARCH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market volatility and population migration in metropolitan conurbati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to the adjacent cities is caused by the rent price change.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 rent price is more relevant to the migration than the house sale price. 2.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voluntary movements of renter household may be involved in the migration, indicating that interest in residential stability of the renter household is necessary. It also confirms that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housing market of the adjacent cities as well as the local city for the efficient housing policy.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인구이동과 주거이동

2.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의 틀

1. 연구방법 및 절차

2. 현황 및 기초통계

Ⅳ. 실증분석

1. 분석방법

2. 지역별 주택가격 변동의 인과관계

3. 충격반응 및 분산분해 분석

Ⅴ. 결 론

<abstract>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