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충렬서원에서의 포은 정몽주 숭모활동

A Study on the Adoration activity of Poeun(Jeong, Mong-Ju) in Choongryul Seowon

  • 181
137833.jpg

고려왕조의 충절이자 동방 이학의 비조로 숭앙되어 온 포은 정몽주의 묘 정 근역에 건립된 충렬서원은 1576년(선조 9) 죽전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1592년)의 전란으로 인해 완전히 소실되었다. 그러던 것이 월사 이정구의 열성적이고 헌신적인 주선으로 1608년(선조 41) 중건될 수 있었고, 1609년(광해군 1)에는 비로소 ‘충렬서원’으로 사액되었다. 처음 죽전서원으로 창건될 때는 정암 조광조를 배향하였으나, 중건되는과정에서 정암 조광조는 심곡서원으로 옮겨 모시게 됨으로써 충렬서원에서는 더 이상 배향하지 않게 되었다. 그 뒤 1791년(정조 15)에 이르러 포은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배향되었다. ‘그 할아버지에 그 손자’라는 명성에 부합하는 절의정신을 실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정조로부터 ‘죽지 않은 사육신’이라는 평가를 받은 설곡 정보를 충렬서원에 배향한 것 역시 포은정몽주에 대한 숭모 활동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후에 추가 배향된 죽창(竹窓) 이시직(李時稷)과 추담(秋潭) 오달제(吳達濟) 역시 뛰어난 절의정신을 발휘한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더욱 빛나게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포은 정몽주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은전은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었다. 고려시대에 이미 ‘입각도형’의 은전을 입어 화상이 제작되었고, 조선시대에는 폭넓은 방식의 은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조선은 그에게 최고의 관작을 추증하였으나 위패에는 이를 기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의 충절을 숭모하는 예우를 다했다. 또한 그에게 바치는 제문에도 이름을 쓰지 못하게 하는 존경심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후손들에게는 지속적 으로 음사를 제공함으로써 생활을 보장해주고자 했다. 심지어 그의 화상에까지도 숭모하는 예우가 행해졌다는 것은 그에 대한 조선왕조의 숭모의 정이 어떠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은전은 포은의 묘역에 위치하고 포은의 진본 화상이 봉안된 충렬서원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이어졌다.

Choongryul Seowon that enshrine Poeun(Jeong, Mong-Ju) who was revered as the last loyalty in Goryeo dynasty and the founder in Korean Neo-Confucianism had builded under the name Jukjeon Seowon in 1576. But it was completely destroyed due to the wa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It was in 1608 that it could be rebuilt with enthusiastic and dedicated arrangements of Wolsa Lee Jung-gu and in 1609, it was approved as Choongryul Seowon . When it was first established as Jukjeon Seowon ,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wo persons, Poeun(Jeong, Mong-Ju) and Jeongam(Jo, Gwang-jo). In the process, however, Jeongam(Jo, Gwang-jo) was no longer bound by Choongryul Seowon , who moved to the Simgok Seowon . Then, in 1791, Seolgok(Jeong Bo) who is Poeun(Jeong, Mong-Ju) s grandson was granted permission to perform ancestral rites together his grandfather in Choongryul Seowon by King Jeong-jo. King Jeong-jo praised praised his loyalty, referring to him as a Six loyalties that did not die. It is understandable that King Jeong-jo enshrined Seolgok(Jeong Bo) at Choongryul Seowon as a memorial to Poeun(Jeong, Mong-Ju). Later on, the loyalty of Jukchang(Lee, Si-Jik) and Chudam(Oh, Dal-J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encirclement of it, also made the Poeun(Jeong, Mong-Ju) loyalty brighter. A national privilege of Poeun(Jeong, Mong-Ju) was conduc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obligation to paint portraits in the Goryeo Dynasty, a special favor continued to be provided in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Joseon Dynasty dedicated him with the highest government office after death. However, the Joseon Dynasty did honors his loyalty to him by preventing Joseon government s office from entering his mortuary tablet and him from writing his real name to the memorial service dedicated to him.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tried to guarantee his descendants s life by providing permanent posts. Even respecting respectful tributes to his portraits demonstrates how much respect the Joseon Dynasty respected him.

1. 여는 말

2. 충렬서원의 창건과 중건

3. 포은과 충렬서원에 대한 숭모와 은전

4. 설곡 정보의 신원과 충렬서원 배향

5. 맺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