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833.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말 문인들의 포은에 대한 인식

The Late Goryeo Literary people s Perception of Poeun

  • 146

본고에서는 포은과 함께 활동하였던 고려말의 문인들이 포은의 삶 중에서 어떤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포은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성리학에 대한 궁구였다. 어린 나이부터 성리학의 요체를 깨닫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것은 자연스럽게 주위의 선배와 후배들의 귀감이 되었다. 특히 삼봉에게 직접 맹자를 보내주어 익히도록 권면하기도 하였다. 목은 이색을 도와 성균관의 교관으로 젊은 유생들을 기르는 일에 힘을 쏟으면서 자연스럽게 사도(斯道)를 중흥 시킬 정종(正宗)으로 기대를 모으게 되었다. 두 번째는 바로 시인으로서의 모습이다. 포은의 시는 전장을 누빈 종사관, 성리학자, 정치가, 외교관 등과 같은 화려한 이력에 맞게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포은은 슬플 때나 즐거울 때나 시로써 마음을 달랬으며, 주위의 사람들과 시로써 소통하였다. 이러한 포은의 삶은 당시의 문인들에게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각인시켜 주었고, 이로써 시인으로서의 포은은 불후의 문 장백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포은의 시문은 부분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포은의 시문학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당시 문인들이 포은의 시문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다양한 견해는 포은의 시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에 큰 도움이 될 수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what aspects of Poeun s life were perceived as important by literary people in late Goryeo.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oeun in his life was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Poeun had made great efforts to find enlightenment of the core of neo-Confucianism since early age, by which his seniors and juniors around were naturally inspired. Especially to Sambong, Poeun sent Mencius and encouraged him to master. Devoting himself to teaching young students of Confucianism, Poeun was expected to the qualified person for restoring neo-Confucianism. The second is the feature as a poet. Poeun s poems have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suiting his impressive careers. Poeun comforted himself in his joy or sadness and communicated with his surroundings through poems, for the life of which the aspect as a poet was laid to literary people s hearts of those days. For that, Poeun as a poet became recognized as the best writer.

1. 머리말

2. 성리학자로서의 인식

1) 사문(斯文) 학습의 주도자

2) 사도(斯道) 중흥의 적임자

3. 문장가로서의 인식

1) 시주(詩酒)를 즐기는 소탈한 문인

2) 불후(不朽)의 문장백(文章伯)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