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드론 및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풍수의 입지해석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Feng Shui Location using Drone & Geospatial Information

  • 239
137933.jpg

동양의 입지론에 있어서 풍수지리(Feng Shui Geography)는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를 나타내는 좋은 터를 선택하는 해석기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상의 분묘를 길지에 모시고 그 후손들이 복을 받으려는 욕구가 높아지면서, 길지에 대한 열망은 타인의 묘역까지도 넘보게 되어, 조선시대 후기 소송 사건의 주를 이루던 산송(山訟)은 거의가 풍수지리 이론에 근거한 문중(門中) 간의 분쟁 이었다. 빈번한 산송사 건은 큰 사회문제로 대두하게 되었는데, 그 당시 산도(山圖)와 육안에 의존한 지세(地勢)의 분석은 한계 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산송사건들 중에서 오랜 기간 동안 분쟁을 빚어온 윤관 장군 묘역을 선정하여, 드론 등을 이용한 대축척 정사영상을 확보하고, 공간정보처리기 법을 통하여 풍수적 입지를 분석한 후, 기존의 풍수이론에 따른 분석 사례와 비교 고찰하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영상처리를 통한 풍수 입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e oriental location theory, the Feng Shui Geography can be understood as selection an appropriate sites by interpretation method which presents the harmony of human and the natur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concern on locating the ancestors graves in good places for the shake of seeking the fortune, the number of disputes between families has been increased. The frequent locating the ancestors graves disputes has become a big social problem due to the technical limitation. In this research the General Yun Gwan grave has been selected which has long disputes history, large scale drone orthophoto has been process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Feng Shui theory in order to help general public understanding.

1. 서 론

2. 풍수의 기본원리

3. 연구 대상지역의 입지 해석

4. 영상 데이터 구축 및 해석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