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독도산업의 활성화 방향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Dokdo Industry

  • 104
137933.jpg

본 연구의 목적은 독도산업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간적 범위는 독도노래가 처음 제작된 1982년부터 현재까지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국내로 한다. 내용적 범위는 우리나라 독도산업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출된 문제점을 검토한 후 독도산업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 는 것으로 한정한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 인터넷조사법 전화면접법을 병행하며, 분석방법은 기술적 (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산업의 활성화 방향으로는 첫째, 기존 동종업계의 일반제품보다 독도제품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었으며 둘째, 독도전문기업의 창업에 대한 정부의 초기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도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업 관리시스템이 요구되었으며 넷째, 독도산업이 독도수호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사회적기업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갖도록 정부의 상징적 세제 감면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s to activation Dokdo industry. For this, time scope was set from 1982 when the song of Dokdo was first released to the present, and spatial scope was set to Korea. Contents scope was limited to proposing the ways to activate Dokdo industry after reviewing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kdo industry.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internet research and telephone interview methods were used in combination, and as for analysis method, descrip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is required to activate Dokdo industry. First, Dokdo products should have better quality and higher value for money. Second,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s needed for establishment of enterprises that specialize in Dokdo industry. Third, an association should be founded to lead those companies. Fourth, the government must provide support in terms of policies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Dokdo industry contributes to protection of Dokdo and creation of jobs.

1. 서 론

2. 독도산업의 일반적 고찰

3. 독도산업의 실태 분석

4. 당면과제와 활성화 방향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