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945년 8월 원폭, 원폭문학의 기억과 망각

Memories and Forgetfulness of Atomic Bomb and Atomic Bomb Literature, August, 1945. -Focusing on Gender, Politics and Alienation

  • 204
137934.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논문은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피폭 여성작가 하야시 교코의 원폭문학을 통해, 시대적인 원폭, 원폭문학의 담론이 어떠한 기억과 망각을 산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코는 원폭이 ‘평화’라는 기억으로 재기억되고, 피폭이 망각되고 피폭자가 무화되는 현재에 피폭의 원체험을 중시한 문학활동을 추구하였다. 교코의 작품 「축제의 장」과 「없는 듯한」이라는 원폭문학은 ‘축제의 장’이 전쟁과 원폭이라는 접점에서 죽음의 메타포이자, 전후의 ‘평화’로 포장되는 시점에서는 망각의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음을 논했다. 60년대를 거치면서 70년대에는 원폭문학의 가해와 피해의 복합적 자각과 함께 전쟁책임이 대두되는 한편, 원폭문학사가 간행되면서 일본문학 안에서 피해자 문학으로 원폭문학이 부상하는 가운데, 교코의 원폭문학「축제의 장」이 군조신인상과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할 수 있었음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원폭문학이 피폭의 사실을 정확하게 그린다는 취지로 수기, 기록, 문학이라는 애매한 영역을 점하고 있음을 검토하고, 교코의 문학이 절망 가운데 원망, 분노의 분출을 넘어 ‘인간 존중’과 ‘희망’이라는 이상을 담고 있는 나가오카가 말하는 원폭문학다운 문학이라는 점을 규명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d what memories and forgetfulness are produced by the historic discourses of atom bomb and atom bomb literature, through the atom bomb literature of Kyoko Hayahsi, an exposed female author in Nagasaki in August, 8, 1945. Kyoko pursued her own literature activities emphasizing original experience, where the atom bomb was re-memorized as ‘peace’, the exposure was forgotten and survivors became nothing. Her atom bomb literature represented by 「The Place of a Feast」 and 「As If No One Exists」 discussed that the ‘place of a feast’ functioned as a metaphor of death at an interface between the war and the atom bomb and as a metaphor of forgetfulness when it was glorified as the ‘peace’ after the war. By 1970, responsibility for the war was highlighted along with complex perceptions on offensing and victimization in the atom bomb literature, Kyoko won Sinzo Rookie of the Year Award and Akutakwa Prize for her 「The Place of a Feast」 while when the atom bomb literature emerged as victim literature, due to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atom bomb literature. Finally, It made clear that Kyoko’s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enough to be call atom bomb literature’, the term coined by Hiroyoshi Nagaoka, which includes ideals such as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hope’, beyond resentment and anger in desperation.

Abstract

1. 들어가며

2. 하야시 교코의 ‘원폭문학’의 원형

3. 전쟁과 원폭

4. 피폭(被爆)과 피폭(被曝) : ‘인간 존엄’ ‘희망’

5. 원폭문학을 둘러싼 정치와 문학, 그리고 교코의 문학

6.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