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의 PR실태 분석
The PR practices for the domestic E-Book Reader -Focusing on the news coverage of Korea s major newspapers-
- 한국전자출판학회
- 전자출판연구
- 한국전자출판연구 제5호
-
2015.087 - 20 (14 pages)
- 205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전자책 단말기가 활성화되지 못한 데에 전자책 단말기에 대한 PR에도 책임이 있다고 판단, 국내 3대 주류신문이라 할 수 있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보 도된 전자책 단말기 관련 뉴스기사를 중심으로 PR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사유형에서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주제유형은 서비스 특성, 사용 후기, 제품 특성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잠재적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부스 및 체험단 운영 등과 같은 PR캠페인에 대한 기사는 많지 않았다. 정보원 유형에서는 서점 관계자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보도시점에서는 사후보도가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PR활동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및 서비스 특성뿐만 아니라 출판 콘텐츠 측면에서의 PR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부스나 체험단과 같이 공중을 대상으로 한 PR캠페인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에 대한 언론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전보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PR practices for the E-Book Reader as one of the reasons why E-Book reader did not activate in Korea.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ree mainstream newspapers referred to the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rticles were mostly reported as straight news, and the type of themes were varied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and product, reviews for use. However, there were not many articles regarding the experience booths for the potential target public. Moreover, the number of post-reports were far bigger than pre-report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that can be more effective PR activitie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PR for product and service characteristics but also PR for E-Book contents. Second, publishing companies are to perform the direct PR campaign like the experience booths and strengthen the publicity of it.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re-reports which can lead to understanding of the public.
1. 들어가며
2. PR 측면에서 퍼블리시티의 중요성
3. 국내 전자책 단말기의 등장과 발전
4.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3) 분석유목
5. 분석결과
1) 단말기 관련 뉴스기사의 기사유형
2) 단말기 관련 뉴스기사의 주제유형
3) 단말기 관련 뉴스기사의 정보원 유형
4) 단말기 관련 뉴스기사의 보도시점
6. 나가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