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교과서 운영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모델
A Case Study of E-Textbook Adoption and Its Promotion Model
- 한국전자출판학회
- 전자출판연구
- 한국전자출판연구 제5호
-
2015.0831 - 41 (11 pages)
- 310

출판 산업은 시장이 매우 큰 산업이며, 전자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출판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전자책의 일종인 전자교과서는 학교 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시범 사업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을 노출시킴으로써 전자교과서 확산에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 공립학교와 2014년 국내에서 진행된 전자교과서 운영 사례를 기존 연구 문헌들과 신문 기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전자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교육모델-교수자역량”의 삼각 모델을 소개하며, 활성화를 위한 각 요소들의 내용을 제안한다.
The publishing industry is a big industry with large market. In the publishing industry, e-books is growing rapidly and it will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future publishing market. E-textbook, a kind of e-book, is believ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 in school education, so tha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made policies to promote e-textbook market. However, some experimental adoptions of e-textbook in US and Korea have revealed some problem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e-textbook adoption, in L.A. schools and in Korea schools, and introduce our e-textbook promotion model, which consists of “education environment – education model – capability of lecturer.” We also propose our suggestions for promotion of e-textbook in schools.
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관련 연구
1) 국내외 출판 및 전자책 시장 규모
2) 전자책 관련 연구
3) 전자교과서 관련 연구
3. 전자교과서 활용 사례 및 분석
1) L.A. 공립학교 사례
2) 국내 전자교과서 사례
4. 전자교과서 활성화 모델
1) 전자교과서의 특성
2) 전자교과서 활성화 모델
3) 전자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제언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