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신념과 교육실습경험과의 관계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music related to field experiences

  • 358
137973.jpg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신념과 실습경험에 따른 신념의 차이 및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전라도 지역에 재학중인 2-4 학년 유아교육과 학생 총 213명으로, Music Beliefs Questionnaire설문지와 심층 질 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 사들은 음악의 중요성에 대해 대체적으로 높은 신념수준을 보여주었으며, 세 종류의 하위요인들에 대해서는 심미적 효능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사 회정서적 효능, 삶의 질 효능의 순서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음악의 중요성에 대한 전체 신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악의 심미적 효능에 대한 신념은 교생실습을 다녀오지 않은 예비교사들 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에 대한 신념수준을 상위와 하위로 분류하여 이들의 현장실습에서의 음악관련 관찰경험 및 음악교수경험을 분석한 결과, 상위 신 념그룹의 경우, 담임교사의 다양하고 다각적인 음악활동을 관찰하였으며, 예비교사 교육 및 개인적인 음악교육경험이 긍정적인 음악교수경험과 관련이 있다고 나타났 다. 하위신념그룹의 예비교사들의 경우 교육실습시 제한적인 음악활동을 경험하였 으며 음악능력과 지식에 대한 부족으로 인해 음악활동에 낮은 자신감을 보였다.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음악교육 및 교사교육을 위한 토론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he importance of music related to field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early childhood preserivce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Jeola-do areas.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MBQ and theme writing.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overall beliefs about music of early childhood prospective educators are relatively strong. Regarding the beliefs about music benefits, preservice teachers possess stronger beliefs about aesthetic benefits than social-emotional and quality-of-life benefit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liefs about aesthetic benefits of music between teachers with field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field experiences. Third, the theme writing revealed a relationship between field experiences and beliefs about music. Teachers of stronger level belief group experienced more positive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than those of weaker level belief group.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furthe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