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실시간 한반도 지진위험지도 생성 방법

A Method for Creating Real-Time Earthquake Hazard Map in Korean Peninsula

  • 255
138059.jpg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으로 인해 지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진 재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상청 웹으로부터 지진자료를 크롤링하여 지진위험을 시각화하였다. 자료는 1980년부터 2016년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며 총 1,411건이다. 수집된 자료로부터 지진위험지도를 생성하기 위해 150×150 격자를 생성하여 지진 위험성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지진발생추세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 전후의 지진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진위험지도는 경주, 평안북도, 황해지역이 지진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 이후 한반도의 지진발생이 북서지역이나 황해, 동해에서 남한 내륙으로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5.8 magnitude earthquake in 2016 raises concerns about earthquakes. Therefore, it’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against earthquake disaster. This study visualizes the earthquake risk by crawling earthquake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b. The data are 1,411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2.0 or mor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1980 to 2016. 150×150 grid was generated from the data to generate an earthquake hazard map, which indicated an earthquake hazard. In addition, the seismic risk before and after 2000 was evaluated to see the trend of earthquake occurrence. As the results, southeast region, northwest region and the yellow sea are at high risk of earthquakes. And we could find that the trend of earthquake occurrence since 2000 has changed from northwest region, yellow sea, east sea to north inland.

Abstract

요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자료

4. 연구결과

5.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