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댄스스포츠 수업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교육적 탐색

An Educational Research on Enjoyment and Stress on the DanceSport Class

  • 69
137966.jpg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참여자들이 느끼는 재미 또는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비확률 표집인 임의표집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개방형 설문지로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200부를 배포하였고 최종 179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분석 절차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원자료를 토대로 소영역, 중영역, 대영역으로 범주화 하였고, 5차례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그 결과, 재미 요인은 38 개의 소영역, 16개의 중영역, 5개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대영역에는 스포츠 가치, 종목 특성, 삶의 변화, 자기계발, 교육 환경 만족 요인이 도출되었다. 스트레스 요인은 32개의 소영역, 11개의 중영역, 5개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대영역에는 운동수행능력 부족, 상황적 한계, 파트너십, 정서적 제약, 사회적 인식 요인이 도출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 현장의 실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수업과 지도자의 질을 높이고 교육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 is to investigate enjoyment and stress factors that participants feel in dancesport classes.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non-probability sampling, the accidental sampling, and total 179 copies of open questionnaire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analysis procedure, and source data was categorized into subcategory, mid-category, and main category based on the source data. As a result, the enjoyment factor was categorized into 38 subcategories, 16 mid-categories, and 5 main categories, and main category included sports value, characteristics of events, changes in life, self-development and satisfactory factor of educational environment. Stress factor was categorized into 32 subcategories, 11 mid-categories, and 5 main categories, and main category included Lack of exercise performance, situational limitation, partnership, emotional constraint, and social recognition factor. The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in understanding actual condition of classes, and to provide necessary basic data in raising quality of classes and instructors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