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영)어 학습자 문학(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 독해지도 전략 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 Teaching Reading Strategy by using English Learner\ s Literature (English & American Short Storie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6권 1호
-
2006.06145 - 162 (18 pages)
- 283

본 연구의 목적은 언(영)어학습자 문학을 이용하는 영어 교육에서의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문학적 반응의 첫 단계는 최소한의 언어능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반대로 문학은 언어적 모델로서 EFL상황에서 외국어 학습에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는 이론이 성립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외국인들은 원어민들과 같은 정도의 언어 능력을 갖지 못한 채로 공부를 시작하므로 초기 단계에서는 제한적이라는 결함이 있지만 문학 능력을 습득하게 되면 이것은 언어 능력을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면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학텍스트의 장점을 EFL상황에서 언어개발을 위한 자원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구체적으로 여러 가지 기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종래의 교사 중심의 강의 방식에서 얻어진 생산물로서의 주입식이고도 결과 지향적인 전달방법에서 교사의 참신한 질문전략과 함께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참여를 통하여 학생 중심의 문제해결, 과정 중심적이고 개방적인 접근으로 전환, 그리고 현실의 입시제도를 떠나 학생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텍스트의 선정과 함께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활동들을 개발해 간다면 영어교육 내에서의 문학지도의 보다 질 높은 투입가능성을 밝게 해준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the use of English Learner\ s Literature as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in EFL setting. In this vulnerable situation, especially a variety of literary materials are available anywhere, anytime. Also such texts are very authentic, and much more, they have ‘context of situation’ that almost amounts to real-life setting. Therefore we can use such literary works as good resources for teaching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 object of literary study with a variety of methods.
Ⅰ. 서론 : 영미 문학작품의 영어교육에의 활용
Ⅱ. 언어교육 교재로서의 단편소설 스토리 지도 방법(이론)
Ⅲ. 단편소설을 이용한 영어 지도 방법 및 절차
Ⅳ.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