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액션러닝(Action Learning)을 활용한 수업설계 및 운영사례에 대한 실행연구

A Study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Action Learning and Related Cases: with priority given to instructions in pre-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courses

  • 508
137965.jpg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연구자가 인식하고 있는 수업의 문제점 - 학습자의 수업참여저조, 지식전달 수업의 한계, 학습자 학습능력의 부진, 팀 학습의 다양성 및 체계성 부족 등 - 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실행연구이다. 연구자는 수업개선을 위해서 가장 먼저 예비유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 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알게 된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 에 대한 요구를 교사 양성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액션러닝 교수법’ 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전공교과목 수업운영에 액션러닝을 도입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및 문제해결력 강화,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 자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친밀한 관계형성 그리고 유아교사 직무에 대한 올바른 이해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action research into the instructions of the per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s in an effort to resolve problems with the instructions perceived by this researcher, such as poor class participation of learners, limits of knowledge-conveying classes, basic academic deficiencies of learners and unsystematic team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existing instructions, 28 pre-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group to find out their needs for good instruction, and action learning was identified as one of effective ways to teach pre-kindergarten teachers to provide good instruction in response to their needs.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to pre-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overall instructional satisfaction level, class particip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learners, their interaction with teachers, mutual relationship building and right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Ⅰ. 서 론

II. 액션러닝(Action Learning)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