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8권 4호
-
2018.02281 - 303 (23 pages)
-
DOI : 10.22251/jlcci.2018.18.4.281
- 808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립 D 고등학교, 사립 H 고등학교의 인문계 고등학생 334명 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에 대한 설문을 2017년 2월 1일부터 4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4.0과 AMOS Ver. 2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넷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순차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힌 동시에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surveyed 334 high school students of D and H high schools in Busan from February 1, 2017, and measured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SPSS Ver. 24.0 and AMOS Ver. 24.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s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rectly. Secon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ir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Fourth,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is a sense of meaning in this aspec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