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북한이탈주민의 CBS 긴급재난문자 이해도 분석연구

Analysis of Degree of Understanding for CBS Alerting Texts of North Korean Defectors

  • 354
138352.jpg

긴급재난상황시 다수의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CBS 재난문자방송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CBS 재난문자방송은 간략하고 쉬운 문장으로 구성되어있으나, 외국인 및 북한이탈주민은 적절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게 28개의 CBS 표준문안을 보여주고, 이해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남한에 10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은 대부분의 문안을 정확하게 이해하였으나, 5년 미만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은 한자어와 외래어가 포함된 어휘의 이해를 곤란해 하였다. 또한, 남한 거주 기간이 긴 북한이탈주민일수록 잠재적인 미래의 북한이탈주민이 표준문안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실제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표준문안 이해정도가 CBS 담당자의 기대치보다 낮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긴급 재난상황의 전파체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BS are widely used to provide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residents in emergency situations. Although texts of CBS consists of simple and easy sentences, foreign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may not understand properly. In this study, 28 CBS standardized alerting texts were shown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was measured on 5-Likert Scale. Although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10 years correctly understood most of the texts, defectors who lived for less than five year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including Chinese and other foreign words.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longer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believed that potential future North Korean defectors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standard text better. This shows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tandard text can be lower than the expectations of the CBS staff in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propagation system of emergency disaster situations.

Abstract

요지

1. 서론

2. 남북한 언어 차이와 북한이탈주민 교육 현황

3. 연구방법 및 대상

4. 설문 및 분석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