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체험경제 관점에 따른 경복궁 활용에 대한 외국인 방문객 지지도

Support of foreign visitor toward applic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 183
138369.jpg

고궁은 많은 외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 매력물로, 고궁에서의 체험은 관광 활동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궁에서 체험경제의 관점에 따라 만족도, 신뢰, 그리고 지지도와 같은 관광객 반응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대면 인터뷰에 의한 현장조사가 경복궁에서 325명의 관광객에게 진행되었다. 실증적 결과 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체험경제의 구성개념들 중 교육 체험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일상탈출 체험, 심미 체험, 그리고 오락 체험과 같은 다른 구성개념들은 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는 신뢰에 긍정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후 신뢰는 관광지로 경복궁의 활용에 대한 지지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만족도는 관광지로 경복궁의 활용에 대한 지지도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관광지로 경복궁의 활성화를 위한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 부분에 더 논의되었다.

The ancient palace is a popular tourist attraction for many foreigners, and the experience at the ancient palac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tourism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ourist response such as satisfaction, trust, and suppor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experience economy at the palace. To this end, an onsite survey by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325 tourists for the Gyeongbok Palace.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experience of the experience economy’s constr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other constructs such as escape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satisfac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rust, which in turn influenced positively support toward the applic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as a tourist site. Thir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support toward the applic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as a tourist site.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activate Gyeongbok Palace as a tourist site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