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이 인식하는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이 부하들의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및 회복력 각각에, 둘째, 부하들이 인식하는 자아효능감이 낙관주의와 회복력 각각에, 셋째, 낙관주의와 희망 각각이 회복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위 연구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본으로 한국 국적 대형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377명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은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 그들의 자아효능감, 희망, 긍정주의 및 회복력에 대해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하가 지각하는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은 부하들이 지각하는 자아효능감, 희망및 긍정주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하들이 지각하는 자아효능감은 그들의 낙관주의와 회복력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하들이 지각하는 희망은 그들의 회복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살펴보면, 이론적 시사점으로,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이 부하의 자아효능감, 희망 및 낙관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 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고, 학계와 실무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이 부하들의 자아효능감, 희망 및 긍정주의를 증진시킴으로서, 항공사조직은 자아효능감, 희망 및 긍정주의의 결과변수인 종사원의 창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nalyzes not only how authentic leadership(AL) predicts employees’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but also how their self-efficacy predicts optimism and resilience in flight attendant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how employees’ resilience is predicted by hope and optimism. Three hundred and seventy seven employees working in cabin crews of Korea full-fare airlin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mployees reported their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s well as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ir supervisors. The main findings are: (a) AL predicts employees’ self-efficacy, hope and optimism; (b) employees’ self-efficacy predicts their hope and resilience; (c) employees’ resilience is predicted by their hope. As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study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L improves employees’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both scholars and managers of airline companies. As managerial implications, by promoting AL, employees’ self-efficacy, hope and optimism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self-efficacy may increase the more hope and resilience, and the more hope may increase the higher resili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