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411.jpg
학술저널

완도 古今島의 이순신 史蹟 검토

A Study on Historic Sites of Chungmugong Yi in Gogeumdo, Wando

  • 206

고금도(古今島)의 전략적 이점에 대해 주목한 통제사 이순신은 목포 고하도에서 당시 강진 땅 고금도로 이진하였다. 고금도에서 이 순신은 한산도의 진보다 더 우세한 지형과 주변의 둔전을 활용하면서 절이도해전, 순천 예교성전투, 노량해전을 치르면서 임진왜란은 종식되었다. 고금도진은 통제사 이순신에게는 마지막 진영이었으며, 명 수군이 참전하여 조선 수군과 함께 이곳에서 연합함대를 갖춘 곳이며,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통제사 이순신 및 수군의 최고 장수들과 명 부총령 등자룡의 시신이 잠시 안치된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유재란 시기 이순신과 관련 있는 고금도의 유적이 어디이며, 사로병진작전에 참가하는 조·명 연합 수군 함선의 정 박 포구를 문헌기록 등을 활용하여 추적해 보았다. 정유재란기 고금도가 갖는 위상에 걸맞게 1963년 완도 고금도는 사적 제114호‘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으로 지정되어 이순신 관련 사적의 한 곳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사적 명칭을 통해서‘묘(廟)’는 누구의 사우인지 의문을 가질 만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명나라 수군이 세 운 관왕묘의 건립 과정과 임진왜란 후 관왕묘에 대한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일본에 의해 관우상, 진린과 등자룡의 위패 대신 불상을 모신 사찰로 변모하였고, 이 시기 이광수의 답사기로 인하여 관왕묘나 관왕묘비 등을 사대주의의 산물로 몰아 일제를 선도하여 본래의 사적이 변모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중국 관우 사당이 있었기에 사적으로 지정한 것이 아니라면, 정유재란기 목포 고하도에서 완도 고금도로 이진하여 임진왜란의 종식을 가져 온 터전이므로 당연 국가 사적 명칭 또한‘완도 고금도 이충무공 유적으로’수정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Navy Commander-In-Chief, Yi Sun Sin detected geographically strategic advantages of Gogeumdo and moved his position located in Mokpo to Gogeumdo which belonged to Gangjin that time. Yi Sun Sin utilized the geographical advantage and adjacent garrison farm called Dunjeon of Gogeumdo which was superior to those of Hansando in his Battle of Jeorido, Suncheon Yegyoseong, and Noryang, lastly leading to the end of the war called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Gogeumdo Position was his last position as the Naval Commander-In-Chief, and in which there established the position for the combined fleet of Joseon and Ming naval forces. And also, the bodies of Commander-In-Chief Yi Sun Sin, his key generals, and Vice Commander of Ming, Deng Zilong who died in the Battle of Noryang were enshrined for the time being in Gogeumdo. This study traced Gogeumdo historic sites related to Yi Sun Sin in the period of Jeongyujaeran (2nd Japanese Invasion) and the dock where Joseon-Ming combined fleet entering the Sarobyeongjin Operation anchored by examining historic records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historical status in Jeongyujaeran, Gogeumdo in Wando was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114‘Wando Myodangdo Chungmugong Yi Historic Site’.

Ⅰ. 머리말

Ⅱ. 고금도의 사적지로서의 경험과 위상

Ⅲ. 고금도의 사적 정비 추이와 인식 전환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