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만경강 유역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의 지층과 편년

The Geology and Chronology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n the Mankyung River Valley

  • 204

2000년대 중반 이후 만경강 유역에서는 많은 수의 구석기유적이 조사되었으며, 명갈색점토층과 암갈색점토층, 적갈색사질점토층으로 이어지는 3개의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3개의 문화층은 모두 BP 35,000년 이하라는 후기구석기시대의 시간적 범위에 속해있지만 기술적으로 완벽한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구성을 보이는 시기는 상부의 1문화층만이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만경강 유역에서 관찰되는 3개 문화층의 석기구성과 석재사용을 통해 BP 35,000년 이후의 후기구석기시대 시간적 범위안에서 만경강 유역은 어떠한 다양성을 보이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만경강 유역에 분포하는 3개의 문화층은 BP 35,000년을 전후한 3문화층과 BP 25,000년을 전후한 2문화층, BP 15,000년을 전후한 1문화층으로 전개되며 토양쐐기가 발달한 암갈색점토층에 해당하는 2문화층은 이전의 3문화층이나 이어지는 1문화층에 비해 석기의 수량이나 구성에서 극히 빈약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석재에 있어서도 발전된 석기제작기술의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한 ‘유문암계’ 석재보다는 이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석영암계’ 석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석기구성의 특징은 후기구석기시대 시간적 범위안에서 만경강 유역의 2문화층은 석영암계 석재 중심의 3문화층 소멸기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어지는 1문화층은 유문암계 석재의 광범위한 사용과 함께 새로운 석기제작기술의 적극적인 도입의 결과로 이해 할 수 있다.

A large number of Paleolithic artifact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Mankyung River Valley since the mid-2000s. Three distinctive cultural layers have been visualized from those archaeological records, leading to the light yellowish brown clay layer, dark brown clay layer, and reddish brown sandy clay layer. Although all the three cultural layers belong to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fter 35,000 BP, the uppermost horizon shows the technologically more complex reduction sequenc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ssemblage diversity of the region within the time frame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fter about 35,000 BP, especially concerning the associated three cultural layers observed in the valley. The chronological ranges of the three cultural layers can be summarized; cultural layer 3 (around 35,000 BP), cultural layer 2 (around 25,000 BP), and cultural layer 1 (around 15,000 BP). The intermediate horizon, cultural layer 2 is very scanty in the volume and composition of toolkits compared with cultural layer 3 and cultural layer 1. In terms of raw material exploitation pattern, the coarse grained rocks (e.g. quartzite) dominate while the fine grained ones (e.g. rhyolite) for complex tool manufacturing was not been systematically used. On the basis of differing lithic variation through time, cultural layer 2 can be regarded as a transitional episode in between cultural layer 3 attributed to the usage of the coarse grained rocks and cultural layer 1 related to the usage of the fine grained rock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만경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분포

Ⅲ. 만경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