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북중국 세형돌날문화의 특징과 우리나라와의 문화적 상관성 연구

Study of Microblade Industry in North China and Its Cultural Relations with contiguous territories

  • 105
커버이미지 없음

중국 북부지역은 우리나라, 시베리아 극동 남부 지역의 아무르강 유역, 연해주지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 이러한 요인은 같은 문화권을 공유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켜 주는데, 후기 구석기시대의 세형돌날문화기에도 그러하다. 세형돌날문화는 동북아시아에서는 극동지역을 포함하여 약 25,000년 전후에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북중국 지역의 대표적인 구석기유적으로는 수이동구유적이나 후터우량유적, 시아추안유적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유적들이 발견되고 연구되어졌다. 북중국 세형돌날문화의 특징은 이른 시기일수록 양면박리원칙의 쐐기형몸돌의 존재가 다수를 차지하며, 후기로 접어들어도 이러한 형태의 몸돌의 존재는 여전히 계속적으로 이어져 온다. 부분적으로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양상은 같은 시기 셀렘자유적군이나 우리나라의 유적들과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세형돌날문화 1기에서는 양면박리원칙의 세형몸돌을 포함하여 주로 돌날과 격지를 이용한 석기들이 많이 나타난다. 2기에서는 몸돌의 형태가 다변화되고, 석기의 소형화가 이루어지지만 다양성은 떨어진다. 3기에 접어들면 양면박리원칙의 몸돌이 계속 유지되고, 손톱모양의 끝날긁개, 여러 종류의 새기개류, 잎형 양면석기, 화살촉 등 소형의 석기들이 발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북중국의 지역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최말기에 이르러서는 극동지역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세형돌날문화의 특징을 이어나간다고 할 수 있다.

North China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Korea, Amur river basin in southern part of Russian Far East and Maritime region. This factor satisfy the condition of sharing same cultural area and it works the similar in microblade industry of Upper Paleolithic. Microblade industry in Northeast Asia shows a pattern of expending, in around 25,000 years including Russian Far East. The main Paleolithic sites in the region of North China are consisted of Shuidonggou, Xiachuan, Hutouliang, in addition to this, several sites have been discovered and studied. The feature of microblade industry in North China is that, existence of wedge shaped core which is based on bifacial technique holds a majority, and even the existence of this kind of core continuously had been continued in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Partiall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ut, the basic aspect is similar to Selemdga Upper Paleolithic complex and microblade industry of Korea. In the first stage of microblade industry, It is characterized to appear small blade core and small blade. Stone tools using blade and flake had been abundantly found. It is not a typical microblade industry in Northeast Asia. In the second stage, type of microcore had became diverse and miniaturization of stonetool had been settled. Wedge shaped core on the bifacial preform started to appear. Even in the third stage, wedge shaped core on the bifacial preform had been continued and small stone tools such as nail shaded end-scraper, several kinds of burin, leaf shaped biface and arrowhead had been found. Therefore, after the second stage, typical microblade industry had been appeared in North China, It is assumed to result of peopling migration from Selemdja complex, Russian Far East. In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North China kept on the similar character of microblade industry, which is found in the Russian Far East and Korea.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북중국 세형돌날문화 연구의 진전

Ⅲ. 세형돌날문화기 북중국의 주요 유적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징

Ⅳ. 동북아시아 관점에서의 북중국과 우리나라 세형돌날문화의 상관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