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주먹도끼의 진화과정에 대한 근동지방과 동아시아지역의 비교고고학

A Comparative Study of Evolution and Regional Patterns of Acheulean or Achelean-typed Biface/Handaxe Industries in East Asia and near East

  • 619
커버이미지 없음

이른 시기의 주먹도끼공작의 아시아적인 패턴을 이해하는 방법론적인 개발을 위하여 근동 특히 레반트(Levant)지역의 이른 시기의 구석기공작, 즉 아슐리안 그리고 아슐리안에 연속되는 공작들과 동아시아지역의 주먹도끼공작들에 그 석기의 출현과 진화의 양상에 대한 비교를 개설적으로 시도하였다. 석기공작 개념의 출현과 변화양상 그리고 각 개념들의 정의와 그 적용의 범위에 대한 비교 또한 두 지역에 있어서 석기공작 진화과정의 차이에 대한 비교에서 석기공작의 이해가 환경적응과 문화적 연속성의 관점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석기공작 제작기술의 출현과 진화의 과정에서 근동지역이 상당히 빠르고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바로 이 지역이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일찍 개발되었던 석기기술들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지역적으로 각기 다른 문화집단에 의해서 누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아직도 구석기 문화진화의 단계가 단순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오늘날의 이해이다. 그러나 앞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근동의 문화진화의 양상들에서 보이는 구석기문화의 변동 패턴을 토대로 지역적인 문화변동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한편으로는 이 지역에서 적용된 구석기문화에 대한 개념들이 어느 정도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적용의 범위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세계구석기공작의 이해의 보편성을 확보하는 논의의 토대를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a comparative study of evolution and regional patterns of Acheulean or Acheulean-typed biface/handaxe industries in East Asia and Near East, especially Levant region for developing methodological concepts of understanding variation of cultural processes in various regions in Early Paleolithic age and following stages. Upon review of current studies in these two regions, variations of Acheulean or Acheulean-typed industries needs to approach with two basically different perspectives, evolutionary process to region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cepts of particular pattern. Evolutionary and chronological pattern of industries shown in some sites in Levant such as the Tabun cave in Mount Carmel, may be a critical example showing why rigorous application of two different perspectives to read dynamics of cultural change during early Paleolithic period should be carried out; adaptive process vs cultural tradition. While pattern of early stone industries including bifaces or handaxe industries in East Asia has been considered as a variation that has not been well explained for their causation, temporal and regional changes of Paleolithic industries in Near East have been understood as changes of populations as well as function of the tools adapting to changes of regional environment. Examples in Near East may provide a methodologic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patterns in East Asia in future.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주먹도끼공작의 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석기공작의 정의와 그 문제점

Ⅲ.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아슐리안 석기공작의 출현과 관련석기공작용어들

Ⅳ. 근동지방의 아슐리안 주먹도끼 공작의 특성과 진화과정에 이해의 문제점

Ⅴ. 동아시아 주먹도끼 공작의 분포와 형태적인 특성

Ⅵ. 주먹도끼공작의 진화과정과 개념의 비교

Ⅶ. 비교고고학적인 연구의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