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483.jpg
학술저널

한국의 역대 군사사상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정립의 방향

A Critical Study and Future Direction on Korean Military Thoughts

  • 179

한국의 군사사상에 대해서는 청야입보(淸野入保), 이일대로(以逸待勞) 등 방어위주의 사상이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 사료나 사실을 통해 볼 때 방어 위주의 전략이나 전쟁 수행 방식만을 고수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고구려의 전쟁 수행 방식이나 전략을 보면 공격 지향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고려시대에도 마찬가지로 기병 위주의 전술과 전투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15세기까지 적극적인 군사사상을 가졌던 조선은 16세기 후반 이후 일본과 청나라의 침공을 받으면서 방어 위주의 전략을 채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청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만주를 고려하는 공세적인 군사전략도 함께 고려하기도 하였다.

We has mainly understood that Korean Military Thoughts was focused on Defense. However, as you see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facts, there wasn’t completely the strategy and the method of conduct of war focused on Defense. For example, we can see the offense-oriented aspects in the strategy and conduct of war of Goguryeo. And we can also see the same method in era of Goryeo Dynasty like tactics of cavalry. The Joseon Dynasty had have the offensive Military Thoughts until the late 15th Century. However, since the second half year of 16th, the Joseon Dynasty chose the Military Strategy of Defense-oriented because of invasion of the Japan and the Qing China. However the Joseon dynasty occasionally considered the Military Strategy of offense-oriented to defend invasion of the Qing China.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국 고ㆍ중세 군사사상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Ⅲ. 조선시대 군사사상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맺음말 - 한국 군사사상 이해의 방향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