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시기 해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순신과 함께 해전을 수행한 각 도의 수군 활동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참전규모가 작아서 등한시 되었던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동에 대해서도 드러내는 것이 이순신의 수군활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간의 흐름 순서에 따라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약상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각 수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장수들이 이순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면서 해전을 수행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수군과 전라좌수군은 상호 협조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원균이 지휘한 경상우수군이 전력 규모는 매우 약했지만 나름의 활동을 통해 조선 수군의 전승(戰勝)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것은 주로 경상도 지역의 정보 제공과 전투에서 선봉장 역할 수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경상우수군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운룡은 첫 전투부터 참전하였으며, 이순신과 오랫동안 함께 하였고 여러 가지 작전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영남도 임진왜란 초기에 이순신과 많은 접촉을 하면서 각별한 정을 나누는 관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만춘의 경우에는 일본의 도요토미를 측근에서 살펴본 인물로 고급 정보를 제공하여 이순신의 정세 판단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드러났다. 한편으로 충청수군은 한산도에 와서 부원하는 전선이 매우 적어서 전력에 큰 보탬이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충청수군은 지휘관들의 능력이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미 조방장으로서 이순신을 보좌했던 정걸이 충청수사로서 다시 인연을 맺으면서 그가 50년 무관 생활에서 쌓은 전문지식과 다양한 경험들은 이순신의 작전구사에 큰 힘이 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사직은 이순신과 무과 동기로서 든든한 위안이 되었을 것이고, 임진왜란 전부터 이순신과 절친한 관계를 유지해 온 선거이가 한산도 진중에서 함께 함으로써 이순신에게 큰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한산도 진영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충청우후 원유남도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지휘관들의 세밀한 행적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이순신 해전 승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the naval battles precisely during the Imjin Wa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aval activities of each province which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long with Yi Sunsin.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due to relatively small scale of their participation. Investigating their roles, however, can be a good way to understand Yi Sunsin’s naval acitivies accurately. The role played by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is chronicl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Yi Sunsin and the commanders wh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ach camp during the naval battles is also investigated. The mutual coordination between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was made naturally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Although the military strength of Gyeongsang Right Navy commanded by General Won Gyun was weak, it contributed to a complete victory in its way. It offered the information about Gyeongsang area and was in the vanguard of the battles. Yi Unryong, a representative general of Gyeongsang Right Navy, engaged in the first battle, and planned a lot of strategies with Yi Sunsin for a long time. Yi Youngnam also had a lot of contact with Yi Sunsin and develop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him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Je Manchun spied on Toyotomi Hideyoshi closely in Japan and conveyed high-level information to Yi Sunsin. Yi Sunsin was able to judge the situation owing to his contribution. Meanwhile, Chungcheong Navy wasn’t able to do much to help the battle because it had few battleships to send to Hansando. So,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the commanders’ abilities were helpful for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Among them was Jeong Geol, the former aid of Yi Sunsin, who had a special bond with Yi Sunsin as a naval commander of Chungcheong. His expertise and diverse experience as a military officer of 50 years served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Gu Sajik who took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t the same time might be a reliable and comforting friend to Yi Sunsin. Seon Geoi who had been a close friend earlier than Imjin War also became a comfort to Yi Sunsin by staying in Hansando camp. It is verified that Won Yunam, Chungcheong Wuhu, who fought for a long time in Hansando camp actively participated in military operations. Even though the exact achievements of these commanders are not shown prominently, their efforts must have been key foundations of Yi Sunsin’s victories in the naval battle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경상우수영 사람들의 활동
Ⅲ. 충청수영 사람들의 활동
Ⅳ. 맺음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