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489.jpg
학술저널

한국 주요 수중발굴 성과와 명량대첩로 수중발굴

The Significant Results of Underwater Archaeology and Myeongnyangdaecheop-ro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 281

우리나라에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는 1976년 신안해저발굴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건이 이루어져 고선박 14척을 포함하여 10만여 점에 이르는 수중유물을 발굴하였다. 신안해저발굴은 9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조사로 그 결과, 고선박을 포함하여 송ㆍ원대 도자기류, 동전, 고급 목재인 자단목(紫檀木), 후추 등 다량의 유물이 출수되었다. 발굴 유물을 고찰해 보면 1323년 중국 영파항에서 일본 큐슈 하카다[博多]항으로 항해하던 중 신안 해안에서 침몰했음이 밝혀졌다. 특히 다량으로 발견된 화물표인 목간을 통해 출항시기와 화물의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간헐적으로 수중발굴이 이루어지다 2007년도에 정부조직으로 수중발굴 전문조직이 만들어진 후 태안 해역에 대한 연차발굴 조사를 하게 되었다. 또한 2012년부터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도 연차적으로 수중발굴을 통해 임진왜란과 관련된 해전 유물들이 최초로 출수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중발굴조사인 신안해저발굴조사를 포함하여 태안 대섬, 태안 마도1호선과 진도 명량대첩 해전유적에 대한 조사과정과 이에 따른 성과를 간단히 소개하였다. 특히 학술적인 성과와 함께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으로 정리하였으며, 신안선을 제외하고 직접 현장에서 느낀 그대로를 소개함으로써 수중문화재의 보존 필요성도 공감하도록 하였다.

The Underwater Archaeology has excavated 25 of sites, it includes approximately 100,000s of objects and 14 of shipwrecks since the 1976 Shinan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The Shinan underwater excavation was long-term investigation for nine years. This excavation recovered a shipwreck, ceramics, coins, and red sandal wood of Song and Yuan dynasties. The study of objects revealed the truth that the ship was depart from Youngpa port(寧波港), China in 1323 heading to Kyusu Hakada port(博多港), Japan. In particular, a great quantity of wooden tablets make it clear the seasons and purpose of departure. Occasional underwater excavation conducted until profes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underwater archaeology had built in 2007. Therefore, this organization has excavated in Taean area as annual plans,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鳴梁大捷路) from 2012. The result of Myeongnyangdaecheop-ro excavation recovered naval battles objects which are related wit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report will introduce the representative result of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such Shinan, Taean Deseom, Taean Mado Shipwreck No.1, and Myeongnyangdaecheop-ro. In addition, it uses a story telling style for easy understanding for everyone, and makes people realism and sympathy of necessary of conservation for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국 주요 수중발굴 성과

Ⅲ. 명량대첩로 수중발굴

Ⅳ.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