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바리공주>의 한국문화교육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Project-based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Barigongju(Princess Bari)> -Focusing on Advanced Korean Learners-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40권
-
2018.02201 - 233 (33 pages)
- 668

한국문화교육은 과정 중심, 학습자 중심, 한국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지향하며 한국문화를 배우는 과정에서 자문화와의 차이를 통한 문화 간 인식을 넓혀 문화를 보는 시각과 관점을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서사무가 <바리공주> 텍스트를 활용한 문화교육에 프로젝트 학습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수업을 적용한 결과 <바리공주> 텍스트는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었으며,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담고 있는 제재로서 문화교육에 적합하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문화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의 활용 의의는 학습자가 문화수업에 주도적이며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스스로 문화를 발견해 내어 내면화할 수 있었다. 한국문화 현상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한국문화와 자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자문화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여러 나라의 문화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며 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a cultural &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text of <Barigongju> and the effectivity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culture education through applying a real class to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the actual lesson, the text of <Barigongju> drew learners attention and interest, and was shown the evaluation result of being appropriate for culture education as a material of containing diverse cultures in Korea. In culture education, the project learning method made learners themselves available for internalizing with finding culture actively with escaping from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in which the given learning contents should be accepted unilateral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roject, the learners could cultivate ability of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henomenon of Korean culture, and could deeply understand about Korean culture. Also, through comparing Korean culture and own country s culture, the recognition of own country s culture could be newly made. The learners was capable of receiving diverse perspectives on culture while sharing information and opinion about cultures in many countries.
1. 서론
2. 프로젝트 학습법 이론
3. <바리공주> 활용 의의 및 문화적 요소
4.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바리공주> 문화수업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