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586.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 Focu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

  • 495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 간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차이가 나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취약성 모델, 무질서 모델, 공식적 통제 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은 1인 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을 예측하는 유일한 요인은 주거지 근처의 무질서 요인이었다. 주거침입범죄에 대한 자기보호행동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남성, 1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여성과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의 경우 주거침 입범죄 자기보호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은 주거지 무질서 인식과 가구방범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인가구 여성의 경우에는 주거지 무질서 인식만이 유일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differences in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among young adults(the age between 19 and 34) ba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female(SHF), multi-person household female(MHF), single-person household male(SHM), and multi-person household male(MHM)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and official control model. As results showed that fear of housebreaking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SHM, and MHM. In all groups,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The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crime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MHM, and SHM. In case of SHF, SHM, MHM, factors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ere the residential disorder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house. In case of MHF,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