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Karasek(1979)의 직무요구-통제모델에 기반하여 직무요구와 직무통제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다음, Johnson & Hall(1988)의 직무요구-직무통제-사회적 지원에 대한 이론적 모 형을 토대로 직무요구와 조직몰입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직무통제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절효과를 제2 조절변수(secondary moderator)인 사회적 지원이 다시 조절하는지에 관한 조절된 조 절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연구를 통해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원, 그리고 조직몰입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 해 서울시 소재 특급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전방부서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 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자료들로부터 본 연구에 도입된 네 가지 변수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서술통계량 분석을 위해 Mplus와 SPSS 20.0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른 실증분석 결과에서 직무요구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제1 조절변수인 직무통제가 이들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거기에 제2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원의 크기가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조절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elation analysis will be conducted between job demand and job control based on Karasek’s job demand-control model. And it will be tested whether social support(secondary moderator) moderates the moderation effect of job control between job deman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moderated moderation).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ll the variables including job demand, job control,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Sampl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employees working at operating departments of deluxe hotels in Seoul and total 209 respondents data were included in subsequent analysis. Prior to testing hypotheses, this study evaluat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variable and conduc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20.0 and Mplus 7.4.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The greater magnitude of social support employees felt, the larger two way interaction effect appeared(moderated moderation effect).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suggests that norm of reciprocity in social exchange theory can be appli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