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603.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客巾衍集』을 통해 본 炯菴 李德懋 시의 특징 - 영남대학교 도남문고 소장 ‘蓬壺山房’본을 대상으로

A Study on Hyungam Lee Deok-moo in Hangaekgumyeonjip

  • 14

본고는 영남대학교 도남문고 소장 『한객건연집』 중 ‘봉호산망’ 본을 주텍스트로, ‘송헌거사’본을 보조텍스트로 삼아 각각의 구성을 비교 대조하여 서지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시의 체제에 있어 ‘봉호산방’본은 연대별로 구성된 반면 ‘송헌거사’본은 詩體別로 구성되었다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논의의 심화를 위해 사가 중 이덕무를 대상으로 兩本의 구성에 따른 동이점을 분류 대조하였다. 그 결과 제목과 평어에 있어서는 미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시구의 경우 13구절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형암 시에 평한 淸 文士의 평어를 중심으로 형암 초기시의 특징인 기궤첨신이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밝혔다. 이어 비점과 평어가 없는 형암 시 15수를 대상으로 비점과 평어의 누락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폈다. 그 원인을 시관의 불일치와 비평을 위한 시간의 부족에 기인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좀더 치밀한 논의를 위해서는 논외였던 三家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angaekgumyeonjip (A Collection of Korean Poets) through a bibliographical approach with the two manuscripts of the edition of ‘Bonghosanbang’ and the edition of ‘Songhungeosa’ by comparison and contrast, owned by the Yeungnam University Library, The ‘Bonghosanbang’ edition is complied by a chronological sequence, while ‘Songhungeosa’ edition by its style orde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the poems and critiques by Lee Deok-moo among the poems in both manuscripts of Hangaekgumyecnjip,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itles and critiques, but in phrases, 13 discrepant phrases are found. To distinguish the features of Hyungam’s poems, I have studied how and when his uncommon and unconventional words are appeared in his early poems, with reference to the critics of the Qing Dynasty. Furthermore, I have discovered the reason of the omission of 15 poems without grading and critique on them.

Ⅰ. 들어가는 말

Ⅱ. 도남문고 소장『한객건연집』구성

Ⅲ.『韓客巾衍集』소재 이덕무 시의 특징

Ⅳ.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