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641.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reflected on education in North Korea

  • 24

이 연구는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북한교육은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위로부터의 부분적 개혁을 실현해왔다는 점에서 수동적 혁명의 특징을 지닌다. 북한교육은 초기의 사회주의 교육, 그리고 과도기의 교육을 거쳐 주체교육으로 변화해왔다. 북한교육은 이 과정에서 半수동적 혁명, 과도기적 수동적 혁명, 주체사상의 항상성과 변용성으로서의 주체교육기의 수동적 혁명을 거쳐 왔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교육은 체제유지를 위한 부분적 개혁으로서의 수동적 혁명의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그 특징은 부드럽고 온건한 방식이었다. 둘째, 북한교육의 수동적 혁명은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되어왔다는 점에서 장기성과 지속성을 지니며, 체제유지를 위한 정교한 역할을 수행해왔다는 점에서 정교성을 지닌다. 셋째, 남한의 수동적 혁명의 특징이 광기의 순간과 수동적 혁명의 지속이었다면, 북한 교육은 장기성, 지속성을 지닌다고 할 때, 통일과 통일교육은 이 둘의 절충과 접점모색을 통해 그 가능성을 찾아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reflected on education in North Korea through the theory of Gramsci. The passive revolution it means that a revolution without revolution, sustains a dominant system as the particular reform from above, while, excludes demands form bottom.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changed from socialism education in earlier ages, to a period of transition, to Ju-Che education.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a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in terms of justifying change, succession, hereditary of the power and taming people who are obedient to Soo-Ryo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a characteristics of passive revolution and has to change from passive to anti-passive revolution. Second,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is needed to changing aims at anti-passive revolution, democratic revolution, and educ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egemony.

Ⅰ. 서론

Ⅱ. 북한사회의 수동적 혁명과 시기구분

Ⅲ. 북한교육의 시기별 수동적 혁명의 특징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