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The Reality and Significance of Kisaeng’s Jiinjigam Based on 〈Seosuilgi〉, a Secret Royal Insprector’s Journal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논총
- 제66집
-
2017.08515 - 540 (26 pages)
- 74

박래겸의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에는 신분을 위장하는 데서 겪는 곤란함이 흥미롭게 기록되어 있다. 그 중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기생들이 어사들을 알아보는 지인지감에 대한 언급들이다. 본고는 〈서수일기〉에 기록된 기생들의 지인지감이 우리에게 무엇에 대해 말해주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일기에 기록된 것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기생들은 오로지 관찰과 경험적 지혜로 어사들의 위장을 꿰뚫어 보고 있었으며, 어사들이 무슨 변명을 하여도 그것에 개의치 않고 자신의 지인지감에 대해 확신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른 계층이나 직업군의 사람들이 여러 가지 정보를 활용해서 어사의 정체를 추리하거나 자신들의 그러한 의심을 확인하기 위해 어사를 추궁하곤 했던 것과 비교되는 점이다. 그리고 야담 등의 이야기 속에는 지인지감을 발휘하는 기생들이 대부분 특별한 능력의 소유자로 그려졌지만, 실은 지인지감이 보통의 기생들에게도 발견되는 일상적 능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지인지감이란 기생에게 있어서 매우 특별하고 예외적인 능력이었다기보다는 그녀들이 자신이 처한 삶의 조건 속에서 나름의 생존전략으로 터득한 재주였던 것이다.〈서수일기〉의 기생 관련 기록은 그녀들의 지인지감의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그녀들이 스스로 말하지 못한 삶의 생살을 짐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기생들이 가진 지인지감에 낭만적, 환상적 색채를 덧씌워 바라보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녀들이 처한 삶의 현장, 더 나아가 중세 신분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e secret royal inspectors’ journals are the records of people and various events they would encounter during their secret inspection. While the formal inspection details of public servants were separately written and reported to a king in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the writings in journals would mostly be the less important stories of common people. The same is true for 〈Seosuilgi〉, Park Rae-kyeom’s secret royal inspector, journal. Conversations among landlords in the lodge, common people meeting on the way, many rumors spread by them and the troubles from identity disguises were interestingly recorded in it. The comments about kisaengs and their Jiinjigam were by far the most intriguing. This research aimed to show about what kisaengs’ Jiinjigam in 〈Seosuilgi〉 are telling to us. It was shown that kisaengs had an insight into human nature only by observation and empirical wisdom based on the writings in the journal. This is compared to the aspect that people of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jobs reasoned with several clues and tried to find out the facts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grilling a secret royal inspector. Whereas most of kisaengs with Jiinjigam in historical romances (Yadam) and novels were depicted as the characters with a special ability, those in journals were just normal kisaengs like ‘an old kisaeng, a kisaeng and a young kisaeng’. Compared to kisaengs in Yadam or novels who perceived people with Jiinjigam, even developing them, a number of normal kisaengs in journals, who had somewhat outstanding talents, haven’t become special kisaengs in spite of possessing Jiinjigam. In short, Jiinjigam for kisaengs actually meant not a very extraordinary ability but a skill kisaengs created as a survival strategy under the conditions of their lives. If further investigated with more interest, it will be noticed that kisaengs have developed more survival strategies than that. They maybe became a master of life in a current sense. Without considering their Jiinjigam covered with romantic and fantastic colors, it should be followed by more comprehensive studies of their realities of life, an accurate and deeper understanding of inequality in the medieval rank society and ultimately which way human society needs to go to. The records of kisaengs in 〈Seosuilgi〉 help us presume their crude life they didn’t tell for themselves by showing the reality of their Jiinjigam presented as literary and mysterious in Yadam, novels and so on.
Ⅰ. 머리말
Ⅱ.〈서수일기〉에 기록된 기생의 지인지감의 특징
Ⅲ. 기생의 지인지감의 실체
Ⅳ. 지인지감과 기생의 삶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