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영남대 동빈문고 소장 자료인 『洛下尺牘』을 정밀 규명하여 그 자료적 가치와 의의를 드러내고, 이학규의 삶에서 『낙하척독』이 차지하는 위상을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시도된 것이다.『낙하척독』은 洛下生 李學逵의 필사본 간찰 모음집으로, 총 1책 4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이학규가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경상도 김해로 유배된 이후 1808년에서 1810년 동안 3년 사이에 주고받은 간찰 59편이 수록되어 있다. 『낙하척독』은 기존에 문집으로 간행된 『洛下生集』, 『洛下生全集』과 비교해볼 때, 수록된 간찰의 내용은 동일하나 배열 순서가 다르고 글자의 출입도 발견된다. 또한 1책으로 특정시기의 간찰을 별도로 묶어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문집에 수록된 자료들과 차별성을 지닌다.『낙하척독』에는 이학규가 유배 초기에 주고받은 간찰들이 수록되어 있어, 동 시기 저자의 내밀한 심사와 관심 사안, 유배 생활의 다양한 면면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상투적인 안부를 묻거나 의례적인 감사 이외에 문학적 행위에 대한 갈증과 성찰, 시론을 비롯한 문학에 관한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학규가 유배 초기에 체험했던 정신적 괴로움과 육체적 고통이 가감 없이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백성들에게 보다 유용할 수 있는 일상의 의학상식과 처방을 제공하고 편의를 추구하는 등,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정확한 지식을 얻어 실용과 현실에 적합한 내용들을 공유하고자 한 이학규의 실학적 자세가 투영되어 있다.
This study is written to fin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Nakhacheukdok held in Dongbin Mungo of Yeungnam University through the deep investigation and to consider the prestige of the Nakhacheukdok in Lee, hak-gyu s life. The Nakhacheukdok is a collection of Lee, hak-gyu s manuscript letters, consists of 44 pages of one book. In this book, there are 59 pieces of letters in the 3-year exile to Kimhae, Kyungsang-do from 1808 to 1810. Compared with the Nakhasaengjib and Nakhasaengjunjib, the Nakhacheukdok is same in the contents of letters but different in the sequence of letters, and characters. Also, published in one book by the specific periods, this book has a distinction from existing collected works. In this Nakhacheukdok, there are the letters written in the period of early exile of Lee, hak-gyu and so we could find out writer s interest, thought, and the various aspects of exile life. Except for a conventional greeting and gratitude, the most part of the book consists of literature such as the thirst for the literature, the reflection, and a literary essay. And the mental trauma and physical pain of Lee, hak-gyu s early exile is described in detail in this book. Also Lee, hak-gyu s Silhak spirit is reflected by giving the useful medical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to people, and sharing the realistic knowledge with people based on the comprehensive evidence.
Ⅰ. 머리말
Ⅱ. 이학규의 유배생활과 척독
Ⅲ.『洛下尺牘』의 구성과 특징
Ⅳ.『洛下尺牘』의 가치와 의의 - 맺음말을 대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