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중국의 문화 전체와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는 일환으로서 龍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그 속에서 서로 다른 종류가 결합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되는 일련의 통합적 방식, 즉 混種 과 創新의 變奏가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주목할 것이다. 이는 용의 원형 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사실적 관계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용의 具象性을 통 해 抽象化되고 또한 용의 抽象性을 통해 具象化되는 일련의 순환적 과정의 과정에서 용의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결국에 그 정신적 기질의 가치도 모색 하는 것이다. 용의 원형과 그 문화의 생명력은 類比的 思惟를 기반으로하여 사회적 관념을 형상화하고 문화의 공동체적 인식을 상징화한 것에 있다. 여기에서는 현실적인 세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보편적인 원리를 담보하고, 더 나아가 복잡한 문화의 현상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정당한 삶의 방식을 확보하려는 취지가 있다. 용의 문화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혼종과 창신의 변주를 통해 끊임없이 승화되고 창조되고 갱신되고 재발견되는 共時性과 通時性의 일련의 과정의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용의 문화적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은 사회적 이념과 시대적 정신의 ‘창조적 종합’이자 ‘종합적 창조’라고 말할 수 있다.
The essay starts from a topic of how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To explicate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is focused upon explaining the character and culture of dragon.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kind of media philosophy concerning a variation of hybrid and creativity to be unified into a totality of culture. The object of issue is the icon-allegory of changes and its allegorical mechanism which is based upon physical forms of dragon and its categorization. Its vitality depends upon making an imagery of social notion and symbolizing a common recognition of culture according to the thinking way of icon-analogy, which has a historical process of being beyond a totem of primitive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icon-allegory, the total culture of dragon has the way of representing or expressing the cultural archetype of East-asian area and its spiritual ethos through media of image. It plays a role as a container of East-asian world-view and its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Consequ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nking way of icon-allegory, the essay is a trial to search for understanding a creativity of synthesis and a synthesis of creativity in the cultural archetype of dragon and its spiritual ethos.
Ⅰ. 문제의식: 문화의 실타래
Ⅱ. 용의 개념과 토템신앙
Ⅲ. 용의 원형과 그 문화의 특징
Ⅳ. 용의 표상과 그 정신적 기질
Ⅴ. 문제의 해결: 문화의 실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