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휴가 『제왕운기』 에 담은 가장 중요한 인식은 정통사관의 입장에서 “발해”를 한국사의 흐름체계에 명확하게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지리기”에서 중조와 동국은 지리적으로 엄연히 구별되며, 중조의 정통왕조 “원”처럼 동국의 정통왕조 “고려”가 단군의 전조선부터 발해까지의 모든 역사를 계승하였다는 인식을 드러내었다. 발해의 역사를 다룬 “발해기”에서는 발해의 건국자, 출자, 그리고 건국년대, 왕국의 존속기간, 유민들의 동향, 그리고 유민에 대한 고려에서의 대우 등등에 대한 내용을 담아내었다. 그중 주목할 만한 인식은 발해 건국자에 대해 “前麗의 舊將”이라고 하여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명확히 한 점이고, 발해 건국시점에 대해 “684년 측천무후 원년”부터 기산함으로써 ‘고구려 멸망으로부터 발해건국까지의 역사단절기’를 30년에서 15년으로 앞당기고, 고구려를 멸망시킨 왕과 발해를 건국시킨 왕을 중첩시킴으로써 역사의 연속성 · 계승성을 강조한 것이며, 발해 유민들의 고려 귀순 사실을 최초로 기록하여 사료적 가치와 신뢰성을 높인 것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Koguryo(高句麗) and Balhae(渤海) portrayed in Li Sung-Hyu s 『GHEWANGUNGI(帝王韻紀)』. The most important understanding of 『GHEWANGUNGI(帝王韻紀)』is Li Sung-Hyu s distinct including of Balhae(渤海)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a legitimate concept of history. In “Jirigi(地理紀)”, Li Sung-Hyu revealed his notion by stating that the geographical positions of China(Joong-jo, 中朝) and Korea(Dong-gook, 東國) are undoubtedly distinguished; just as China(Joong-jo, 中朝) recognizes Won (元) Empire as it s legitimate dynasty, Koryo(高麗) inherited all history ranging from Dangun Josun, also known as Post-Josun(前朝鮮), to Balhae(渤海). “Balhaegi(渤海紀)”, which contains historical contexts of Balhae(渤海), depicts the founder, the established date, and the origin of Balhae(渤海). It also includes details such as the term of existence of the empire, the trends of migrants, and the treatment of migrants in Koryo(高麗). The most recognizable cognizance throughout the context is the portrayal of the founder of Balhae(渤海). The founder is described as the “general(舊將) of Koguryo(前麗)”, which shows the definite relevance between Koguryo(高句麗) and Balhae(渤海). The established date of Balhae(渤海) reckoned from the year 684, the queen of China s(則天武后) first year of reign, therefore shifting the 30 years of historical severance, covering the fall of Koguryo(高句麗) through the establisment of Balhae(渤海), to 15 years ahead. It emphasized the continuity and the succession of history through overlapping the King that brought Koguryo(高句麗) to the ground with the Father of Balhae(渤海). The migrants from Balhae(渤海) first recorded their defect to Koryo(高麗), which raised it s value as a dependable and a reliable historical document.
Ⅰ. 머리말
Ⅱ. 제왕운기의 “발해 관련 기록” 검토
Ⅲ. 제왕운기의 “고구려 관련 기록”의 검토
Ⅵ. 이승휴의 고구려 · 발해 인식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