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조영제 부작용 고위험군에 대한 전처치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pretreatment for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high-risk group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5권 제1호
-
2013.04201 - 210 (10 pages)
- 306

목적 : 조영제를 사용하는 CT검사에서 조영제 투여 전 병원 내 약물이상 반응 모니터링 팀에서 만든 조영제 부작용 관련 상병코드에 따라 조영제 부작용 고위험군에게 전처치를 시행할 경우 조영제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2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외래환자 중 정맥내로 조영제를 투여받은 23,317명에서 조영제 부작용 고위험군에게 전처치를 시행한 남녀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처치 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제인 Prednisolone tab 5mg 10T를 조영제 주입 13시간, 7시간, 1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항히스타민제인 Cetizal tab 5mg 1T를 조영제 주입 1시간 전에 경구 투여 하였다. 또한 검사 당일 전처치가 되지 않은 환자는 마찬가지로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인 Chlorpeniramine 4mg/2ml, solu-cortef 250mg/2ml를 조영제 주입 30분 전에 정맥 주입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서 남자 61명(51.7%) 중 6명(5.09%), 여자 57명(48.3%) 중 3명(2.54%)으로 검사 후 부작용이 나타났으며(p=0.350), 연령에 따라서는 60세 이상에서 60명(50.8%) 중 6명(5.09%)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p=0.914). 촬영부위별 부작용 발생 역시 검사 후 증상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830) 전처치 방법으로 정맥 주입을 한 환자는 65명(55.1%) 중 6명(5.09%), 경구 투여를 한 환자는 53명(44.0%) 중 3명(2.54%)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67). 조영제 종류(p=0.670), 조영제 주입량(p=0.695), 주입속도(p=0.468)의 경우 검사후 증상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영제 부작용 기왕력의 경우 36명(30.5%) 중 6명(5.09%)이 검사후 부작용이 다시 발생되어 검사 후 증상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 CT검사 후 조영제 부작용은 기왕력에 대해서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과거의 기왕력을 철저히 파악하고 고위험군에게 전처치를 시행하여 검사 종료 후 세심하게 관찰하고 이를 예방할수 있는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It is to provide the method to reduce and prevent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by performing pretreatment to contrast media anaphylaxis high-risk group according to contrast media anaphylaxis related illness code by drug side effect response monitoring team in hospital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a.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s were 118 male and female patients who received pretreatment for contrast media anaphylaxis high-risk group out of 23,317 patients who came to the subject hospital and had contrast media in veins. For conditioning, Prednisolone (corticosteroid agent) tab 5 mg 10T were given 13 hours, 7 hours and 1 hour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a, and Cetizal (anti-histamine) tab 5mg 1T was given orally an hour before the administration contrast media. The patients who did not get pretreatment got injection of anti-histamine agent (Chlorpeniramine 4mg/2ml) and corticosteroid agent (solu-cortef 250mg/2ml) in veins 30 minutes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contrast media. Results : In general characteristics, 6(5.09%) out of 61 males(51.7%) and 3(2.54%) out of 57 females(48.3%) showed anaphylaxis after the examination(p=0.350). According to age, the group over 60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naphylaxis as 6(5.09%) out of 60 (50.8%)(p=0.91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aphylaxis occurrence according to examination part and symptoms after the examination(p=0.83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treatment method. Six(5.09%) out of 65(55.1%) who got intravenous injection showed anaphylaxis, while 3(2.54%) out of 53(44.0%) who got oral administration showed anaphylaxis(p=0.46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trast media type(p=0.670), contrast media injection volume(p=0.695), and injection speed(p=0.468), while contrast media anaphylaxis histo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6(5.09%) out of 36(30.5%) showed the recurrence of anaphylaxis after the examination(p=0.001). Conclusion : As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are analyzed to have high correlation with previous history of adverse reac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revious history and a standardized guideline should be in place to administer pretreatment to the high-risk group and to perform close follow-up after the examination.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