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는 『역전』을 근거로 하고 당시 자연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언어의 체계를 전환하고 새로운 역상이론을 제기하였으며 천도에 기울어진 상학(象學)을 중건하였다. 정다산(丁茶山)은 한편으로 한역의 입장을 견지하여 왕필의 의리의 학문을 반대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역의 역상학설을 반성하고 검토하여 한역의 역상학에 대한 중건을 실행하고 한대의 상수역학 내지 전체 역학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다산의 상학연구는 중국 청대 건가(乾嘉) 전후의 역학연구와 멀지만 서로 호응하여 동아시아 한역 부흥의 사조를 형성시켰다.
Derived from The Appendices, Han Confucianism, transforming the discourse system, has put forward a new image theory and reconstructed the image system which emphasizes the way of heaven by the knowledge about natural science of the day. Jeong, Da-san not only took a firm stand to the Han Yi-ology and opposed Wangbi s stress on moral principles, but also carried 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Han Yi-ology by means of reflection and self-criticism to the Han Yi-ology. Therefore, h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Han image-numerology and even the whole Yi-ology. Researches on Jeong, Da-san s image theory respond to the those Yi-ology of the Qian-jia School, forming the trend of the Han Yi-ology revival.
Ⅰ. 한유(漢儒) 역상설(易象說)의 연원: 『역전』 역상설의 형성 및 내함
Ⅱ. 한유의 역상관(易象觀): 역상 담론의 전환과 『역』을 해석하는 방법의 새로운 고찰
Ⅲ. 다산(茶山)이 해체한 한유(漢儒)의 역상: 한역의 숭상과 한대 역상(易象)의 새로운 검토
Ⅳ. 다산이 재구성한 한유의 역상학: 괘효상과 “물상”의 부합(符合)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