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신제의 바탕에 깔린 사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동신제는 최소 삼국시대부터 행해진 한민족의 祭儀로서 그것은 종교적 성격을 가진다. 오랜 시간 그 명맥을 유지했기 때문에 다양한 외래의 문화와의 習合으로 인해 그것의 형식이 변화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본질은 소멸되지 않았던 까닭은 그 속에 내재된 사유가 한민족의 보편정서와 합치되었기 때문이다. 동신제의 종교적 성격은 멀리 巫術에 까지 확장 될 수 있다. 왜냐하면 犧牲이나 산신, 천신에 기원을 하는 등의 동신제의 주된 내용들의 기원을 古代巫術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지금 남아있는 동신제의 경우 유가와의 습합으로 인해 유가적 요소 또한 보인다. 이는 동신제가 유가의 요소에 의해 강제로 변화 된 것이 아니라 동신제와 유가의 유사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삼투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유가 또한 동신제와 마찬가지로 그 속에 종교적 성격을 가지며 또 무술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술과 종교성 이 둘이 공통으로 가지는 것은 소통의 사유와 사회구성원들의 공통정감에 기초한 신령한 대상의 믿음이다. 그리고 소통과 믿음은 사회의 조화와 통합에 큰 역할을 하며 또 동신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 사회의 구성원임을 확인시켜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what things are the foundation of dongsinje. Dongsinje has a religious nature were don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cultural syncretism of foreign it was also changing its format. Nevertheless, it is not destroyed nature. The reason is because its content was consistent with the universal sentiment of Koreans. There the religious nature of dongsinje can find origin in sorcery. Because a victim can be found in sorcery and the origin of information, such as to obtain the blessing to the mountain god and Tenjin. And now, because of the syncretism ln dongsinje remains of confucianism also confucianism factors. It should be dongsinje naturally projected, due to the similarity of dongsinje confucianism and not to force a change by a factor of confucianism. Because confucianism also because it can not find its origin in sorcery yet has a religious nature in him just as dongsinje. The two of sorcery and religious faith for divine Good for targeted based on a common sentiment of reason and communicate what members of the community have in common. And communication and trust is a big role in the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social causes people to participate in addition to the emotional stability dongsinje confirmed that members of the community.
Ⅰ. 들어가는 말
Ⅱ. 무술과 종교에 나타난 소통
Ⅲ. 공자철학에 나타난 소통
Ⅳ. 동신제에 나타난 소통
Ⅴ. 나가는 말 - 소통의 토대인 단군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