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梅泉集』을 통해 본 『梅泉詩集 下』의 구성과 漏落 詩의 특징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Ha and the Characteristics of Omitted Poems through Macheonjip - With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Ha housed at the Namjae Library of Yeungnam University -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논총
- 제58집
- : KCI등재
- 2014.12
- 151 - 175 (25 pages)
본고는 영남대학교 남재문고(南齋文庫)소장 『매천시집 하(梅泉詩集下)』를 대상으로 원집인 『매천집』과의 대조를 통한 서지 연구이다. 원집과의 비교?대조는 향후 매천시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이를 통해 『매천시집하』 의 구성과 선시 기준, 그리고 누락 시의 특징적 측면을 밝히고자 한다. 『매천시집 하』는 ?매천시집권지이(梅泉詩集卷之二)?와 ?매천시속집권지사(梅泉詩續集卷之四)?로 구성되었다. 전자는 원집 권3~5에서 선시했지만, 후자는 원집에 없고 『구안실신고(苟安室新稿)』의 발굴을 통해 발간된 『매천전집(梅泉全集)』 권1과 권3에 수록된 시들을 선시했다. 선시에서 누락된 시들을 비교 대조한 결과 누락시는 하나같이 장시(長詩)라는 점에서 형식적으로는 율시나 절구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그 제재가 일정치 않으나 민속이나 풍습, 애민이나 민족정신을 밝히는 시들은 배제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집에 누락된 시들이 『매천시집 하』에 다수 포함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매천전집』의 DB화가 시급하다. 『매천시집 하』의 수수관계가 온전히 밝혀질 때 균형잡힌 매천시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bibliographical study on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Ha(『梅泉詩集下』) housed at the Namjae Library of Yeungnam University by comparing it with its original collection Macheonjip(『梅泉集』).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its original collection was a basic work for the study of Macheon poetry and set out to investigate its organization, the criteria of poem sel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omitted poems.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Ha consists of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Gwonjii(『梅泉詩集卷之二』) and Macheon Poems Sokjipgwonjisa(『梅泉詩續集卷之四』). While the former selected poems from the original volumes 3~5, the latter did from Macheonjeonjip(『梅泉全集』) volumes 1 and 3 published by excavating Guanshilshingo(『苟安室新稿』) not found in the original collection. The selected poem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omitted ones, and the results show that omitted ones were all long, containing only Yulshi(『律詩』) and Jeolguishi(『絶句詩』) in terms of form. As for content, their materials were not uniform and excluded folk, custom, love for the people, and national spirit. Considering that many poems omitted from the original collection were included in Collection of Maecheon Poems Ha in spite of those characteristics, it is urgent to make a database for it. When its acceptance relations are examined fully, balanced research on Macheon poetry will be possible.
Ⅰ. 문제제기
Ⅱ. 『매천시집 하』와 『매천집』 의 구성
Ⅲ. 원집 누락 시의 특징
Ⅳ. 남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