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685.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대학교 도서관 南齋文庫 소장 佛敎文獻의 서지 연구

The Bibliographical Research Regarding Buddhism Documents of NamJaeMoonGo at Yeungnam University library

  • 36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 도서관의 南齋文庫에 소장된 고문헌을 대상으로 중요자료인 불교문헌에 대하여 서지적 검토와 학술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특히 소장된 유일본이나 전래본이 많지 않은 자료를 대상으로 간행과 관련된 형태 서지적인 검토와 더불어 각 문헌의 구성과 내용도 개괄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소장된 불교문헌과 관련된 자료의 형태는 간행본이나 필사본, 문서류와 같은 기록물을 중심으로 낱장의 다라니와 그밖에 목판류들도 포함되어 있다. 중요한 문헌으로는 전본이 많지 않은 고려시대 初雕大藏經중의 하나인 『華嚴經』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구결자료인 『楞嚴經』, 조선 전기의 판본으로서 長壽經 과 蒙山和尙德異의 『法語略錄』 들도 15세기 간본으로 대표적인 자료들이다. 16세기의 간본 중 『眞言集』 , 『菩提達磨四行論』 , 『達磨大師觀心論』도 전본이 많지 않은 중요한 판본이다. 또 해인사와 관련된 판본도 적지 않아서 再雕大藏經의 후쇄본이 다수 있고, 영?호남의 주요 사찰에서 간행된 판본도 조선 전기로부터 구한말까지 세기별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This research has taken bibliographical examinations of the buddhism documents by pivoting on old documents of NamJaeMoonGo at Yeungnam University library in order to recognize academical values of such documents. In addition, with unique attention to documents which lack various copies, the research has made an endeavor on unfold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each document through physical-bibliographical approaches. Buddhism documents and related materials of NamJaeMoonGo includes various types of books such as published books, manuscripts, pieces of Daraniwa and woodblocks. The momentous documents of NamJaeMoonGo consist of Hwaeomgyeong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or Neungeomgyeong from Goryeo Dynasty, Jangsoogeyong, Mongsanhwasang beopeoyakrok, Jineonjip, Boridalmasahangron and Dalmadaesagwansimron. Hwaeomgyeong and Neungeomgyeong from Goryeo Dynasty had been continued to be tabled for the topics of myriad bibliographical research. In addition, Jangsoogyeong and Mongsanhwasangbeopeoyakrok had also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editions for early Joseon Dynasty. Furthermore, among the 16th published books, Jineonjip, Boridalmasahangron, Dalmadaesagwansimron had been considered as valuable books for they do not own numerous copied editions. Books of Haeinsa Temple, however, contain myriad editions, e.g., copied editions of Second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editions of influential temples throughout Yeungnam and Honam area own ample amounts of copies ranging from early to late Joseon Dynasty.

Ⅰ. 머리말

Ⅱ. 南齋文庫 古文獻의 現況

Ⅲ. 南齋文庫 所藏 佛敎文獻의 槪要

Ⅳ. 高麗時代 佛敎文獻

Ⅴ. 朝鮮時代 佛敎文獻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