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통일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통일교육은 반공교육기, 통일안보교육기, 통일교육기로 변화해왔다. 이를 분석해보면, 통일교육은 안보를 강조하는 입장과 평화를 강조하는 입장이 순환적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각각의 입장은 평화와 안보에 대한 취약점을 동시에 드러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기존의 통일교육은 N형의 통일교육으로서의 한계를 지닌다. 이는 국가안보중심, 민족중심,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통합과 통일에 대한 접근, 단일적이고 자기중심적 가치를 지향하는 통일교육이었다. 앞으로의 통일교육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P형의 통일교육이어야 한다. 즉 국민안보, 평화지향적 통일교육, 긍정적 적극적 통일에 대한 접근, 복수가치지향적이고 다문화주의를 지향하는 통일교육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transi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it. Unification education has transformed from anti-communism educ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The safety and peace are the main key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t is undeniable fact that the two points still have some conflicts. We should well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focus on encourage increased mutual understanding and good will. The right cours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re not N-Type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by the Nation, for the Nation, for Nation security, Negative approach to the unification education but P-Type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for the Peace, for People security, Positive approach to the unific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통일교육의 시기별 변천과정
Ⅲ. 통일교육의 시기별 내용 분석
Ⅳ.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민족문화논총 제57집 목차
- 영해 도곡리 무안박씨의 문중조직과 종족활동
- 음독 입겿[口訣] 명령형의 통시적 고찰
- 생태시민사회의 형성과 새마을운동의 도전
- 근대 ‘미신론’과 여성의 문제
- 朝鮮時代 尙州 邑城의 位相과 構造
- 지속가능한 문화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 『洪範衍義』의 편찬과 간행
- 장사경(張思敬)의 역학에 대한 분석과 검토
-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방향성 정립에 관한 연구
-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에 나타난 한민족공동체의식
- 朝鮮時代 昌原都護府 圈域 越境地 檢討
- 安龍福이 살았던 시대
- 日章旗抹消事件에 대한 체육문화사 연구
- 퇴계 『자성록(自省錄)』의 일본에서의 판각(板刻)과 영향력
- 유배일기 『太和堂北征錄』에 기록된 ‘꿈’의 양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