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순한글 필사본 『녀창가요록』 이본들을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필사연대와 이본 간의 선본을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녀창가요록』의 필사 연대와 선본(先本) 추정, 그리고 창작 형태에 대한 이견들은 몇 십년동안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흥미로운 것은 『녀창가요록』의 선본과 관련된 논의들이다. 이 논의들은 남경란(2013)의 논의가 있기 전까지는 대다수 ‘동양문고본’이 가장 완전한 선본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주장은 곧 ‘동양문고본’을 제외한 다른 이본들이 ‘동양문고본’을 그대로 베껴 쓴 것이라고 확정하기에 이르렀다.이는 곧 『녀창가요록』 이본 가운데 ‘동양문고본’이 원본이라는 정설로 굳어졌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직접 조사한 ‘가람본’과 ‘도남본’과 기존에 논의되었던 ‘동양문고본’과 ‘이혜구본’을 대상으로 이본들의 형태서지적 자료를 소개하고 ‘곡조명칭 및 표기’와 ‘가사내용 및 표기’등을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선본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This is to analyze the different versions of 『Nyeochangga yorok』 in the hand-written Hangul material and consider the date of writing and differences between versions.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for decades on the date of hand writing, the estimated date of its creation, and the types of creative writing. About this, the researcher introduces bibliographical material of differences through personal inquiry in ‘Garambon’, ‘Donambon’, ‘Dong-yangmungobon’ and ihyegubon while discussing what they previously had. It attempts to consider the original version compared with ‘the title of melody and mark’ and ‘the contents of lyrics and mark’. The different books including 『Nyeochangga yorok』 are presumed to be hand-written in the following years: ‘Garambon’ in 1862, ‘Dong-yangmungobon’ in 1870 or 1930, and ihyegubon in 1883 with the exception of ‘Donambon’ which has no chronicles of hand writing. However, ‘Garambon’ is not the original copy, and is copied down with a ballpoint pen by someone in the future generation. To confirm the real version, it awaits the appearance of another 『Nyeochangga yorok』 which has records of ‘哲宗十三年’.
Ⅰ. 서론
Ⅱ.『녀창가요록』이본 검토
Ⅲ. 선본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Ⅵ.『녀창가요록』선본 재구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