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새마을운동 현지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to Develop Glocalization Model of Global Saemaul Undong - Focused o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논총
- 제55집
-
2013.12283 - 313 (31 pages)
- 43

2013년 6월 18일 새마을운동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리고 UN은 아프리카 빈곤퇴치프로그램의 하나로 새마을운동을 선택할 만큼 큰 관심을 보인 바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아프리카의 유엔 산하기관에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배워볼 것을 권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국제연합 아시아ㆍ태평양 경제ㆍ사회이사회(UNESCAP)는 2003년 아시아 최빈국에 해당하는 라오스, 네팔, 캄보디아 3개국에서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2004년부터 시행하였다. 이처럼 새마을운동은 이제 한국만의 것이 아니라 세계가 주목하는 ‘잘살기운동’프로그램으로 확산되어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런 세계적 추세에 호응하여 새마을운동의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위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설문조사와 현장 면담을 통해 중국의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글로벌새마을운동의 현지화 모델의 가능성을 타진한 이 논문은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 소비풍조의 확산, 농업경제의 약화 혹은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연변에는 연변이 처한 대내외적 환경에 기초한 새마을운동의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탕주의나 패배주의가 싹트고 있기 때문에 의식 개혁운동도 동시에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Archives of Saemaul Undong were register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June 18, 2013. And UN has much interested in Saemaul Undong to such an extent to choose Saemaul Undong as one of Poverty Alleviation Programs.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Ban Ki-Moon advised UN-affiliated organizations of Africa to learn Saemaul Undong of Korea. UNESCAP decided to carry out Saemaul Undong in the Asia’s poorest countries, Laos, Nepal, and Cambodia on a trial basis in 2003 and carried out Saemaul Undong in 2004. Saemaul Undong, not only the Korea’s own property, is spreading into ‘Living Well Program’ which moves into the international spotlight. Responding to these global trend,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Saemaul Undong. Examining the potential of Glocalization Model of Global Saemaul Undong focused on China’s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by way of survey and field interview, this study is able to produc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of Saemaul Undong based o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ircumstances of Yanbian because Yanbian undergoes the dissolution of Korean-Chinese community, the spread of consumption tendency, the decline of agricultural economy. As get-rich-quick fever and defeatism spring up, movement of reforming consciousness should be carried out equally.
Ⅰ. 서론
Ⅱ. 글로벌새마을운동 현지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결과
Ⅲ. 글로벌새마을운동 정착을 위한 제언 및 추진 방향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