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8785.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상품으로서 전통차 소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Tea in View of Cultural and Artistic Goods

DOI : 10.21483/qwoaud.39..201803.101
  • 254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차의 소비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뮤지컬이나 오페라, 클래식 음악 같은 문화·예술상품은 경제적 가치와 더불어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문화적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효용의 크기에 차이가 난다. 전통차 역시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문화·예술상품이다. 따라서 전통차 역시, 문화·예술상품과 동일하게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고려해야, 그 소비행태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트로스비(Throsby, 1999, 2001)의 ‘문화자본(cultural capital)’과 성제환 (2012)의 ‘문화소비자본(cultural consumption capital)’, 그리고 스티글러와 베커(Stigler& Becker, 1977)의 ‘능동적 소비자 효용극대화 모형(active utility maximize model)’을 원용하여 문화·예술상품인 전통차의 소비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현재 행해지고 있는 전통차 교육이 전통차 소비를 활성화 시키는 문화소비자본 형성에 기여하는 지 여부를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재 차문화 관련 단체들이 주축이 되어 행해지는 교육들이 지도자 양성과정에 치우쳐 있어 잠재적 소비자에게 전통차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소비자본의 형성에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차문화 지도자 중심의 교육도 중요하지만, 대중들에게 접근이 보다 용이한 전통차 교육이 대중들의 전통차에 특화된 문화소비자본 에 더욱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conomic theoretical framework for increasing in Korean Traditional Tea of Consumption. The consumer s uti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goods like musical, opera, classical music depends on consumer s ability that is accumulated through cultural experience or level of knowledge. Korean traditional tea also has economic utility value and cultural value at the same time as these cultural arts products. This paper adapted Throsby s(1999, 2001) cultural capital, Sung s(2012) cultural consumption capital and Stigler & Becker s (1977) active utility maximize model for analyzing the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Tea. On the base of this framework, we examine the role of current tea culture education in the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Tea. As a result, current tea culture education is biased towards the process of training leaders. Therefore, this education is not helpful for the accumul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capital in potential Korean Traditional Tea consumers. Cultural consumption capital play key role in increasing of Traditional Korean Tea consumption. In order to accumulate cultural consumption capit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public education program on Korean traditional tea. Without the accumul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capital, we cannot expect an increase Traditional Korean Tea consumption.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public Traditional Korean Tea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Korean Tea consumption is urgent.

Ⅰ. 서 론

Ⅱ. 전통차 소비에 관한 선행연구

Ⅲ. 문화소비자본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Ⅳ. 전통차 교육의 현황과 문화소비자본

Ⅴ. 요약 및 연구의 한계점

로딩중